- 영문명
- A Political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in Case of South Korea: 4.19 Student Democratic Revolution, 5.16 Military Coup d’Etat and Korean Church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서광선(Kwangsun Suh)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4호, 345~38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의 정치참여 혹은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기술이다. 객관적 자료를 중심으로 하되, 필자의 자전적인 기술을 덧붙이기도 했다. 이번 호에서는 1960년대 한국의 정치 현상과 이에 대한 한국 기독교의 반응 및 비판적 참여와 함께 미국에서 유학생으로 철학과 신학을 공부하면서 체험한 시대정신과 미국 기독교 지도자들의 정치 참여에 주목하였다. 특히 한국에서의 4.19 학생 민주주의 혁명에 대한 한국 기독교 지도자들의 반응에 이어 5.16 군사 쿠데타와 함께 이어진 한일 국교정상화에 대한 기독교계의 반응을 돌이켜 보았다. 나아가서, 4.19 학생혁명에 자극받고, 5.16 군사 쿠데타에 충격을 받은 기독교계가 점차 군사 정권에 대한 비판적 목소리를 내기 시작할 때 산업화 시대와 도시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사회문제와 산업화와 노동계의 문제, 도시 빈민 문제 등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과정을 짚어 보았다. 이 논문은 박정희 군사 정권의 3선개헌 논의에 대한 교회의 반대가 고조되는 1960년대 말까지의 이야기를 실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Korean Christian Church leaders’ reaction and response to April 19, 1960 student democratic revolution, May 16, 1961 military coup d’etat, and subsequent military government’s economic development policy as well as Korea-Japan diplomatic normalization talks. The student led demonstration against the corrupt Christian president Syngman Rhee’s regime, which forced Korean Christians to come to terms with the political corruption. The military coup led by General Park Jung Hee ceased all the democratic process of the government in the name of law and order and anti-communism. The Korean public as well as some Christian leaders welcomed the military action. But the military government pushed on with the so-called normalization of Korea-Japan diplomatic relationship in order to receive some amount of reparation which was used to recover the national economy toward industrialization. The military government’s humiliating negotiations with Japan saw Korean Christian leaders’ public oppositions. All in all, the decade of the 1960’s was a revolutionary period in Korean politics as well as Korean Christians’ awakening, which led to their political and social awareness. I also mentioned my personal learning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same period. The 1960’s in the US was also a revolutionary period: President Kennedy, Martin Luther King Jr.’s black liberation movement, anti-Vietnam War movement, as well as university students’ “free speech movement,” and so on. During the period, Christian theology made a radical change in raising 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 revolutionary time.
목차
4.19 학생민주주의 혁명
4.19 민주혁명 국립묘지
4.19에 대한 기독교 지성의 반응
5.16 군사혁명과 한국교회
나의 신학교육
한일회담과 한국 기독교
1960년대 한국 사회 변화와 기독교사회운동
미국 기독교의 흑인해방 운동, 월남전쟁반대 운동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회는 다시 생동하는 신앙인을 길러낼 수 있을까? - 길희성, 『아직도 교회 다니십니까』 (대한기독교서회, 2015)
- [편집후기] 편집을 마치고 나서
- 본회퍼, 평화주의자인가 암살자인가?
- 한국 기독교의 정치사(IV): 4.19와 5.16 그리고 한국교회
- [특집 좌담] 오늘의 한국교회 연합운동과 분열의 반성
- WEA 복음주의 운동과 한국교회
- [권두 칼럼] 교권과 신학
-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연합해야 한다 : 교회 연합의 필연성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고찰
- 유럽의 개신교회 분열과 미국 교파주의 역사
- 한국 개신교회의 교파성과 연합 및 분열
- 해방 이후의 한국교회 분열 -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한 역사적 고찰
- 전승, 살아 있는 삶의 역사 - 문동환, 『예수냐 바울이냐』 (삼인, 2015)
- WCC 세계교회 연합 운동과 한국교회 에큐메니칼 운동의 역사와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