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etrich Bonhoeffer, Pacifist or Assassinator?
- 발행기관
- 한국신학아카데미
- 저자명
- 이인기(Ihnkey Lee)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교회』제4호, 311~34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디트리히 본회퍼가 보여준 평화주의자와 암살자라는 모순된 이미지의 긴장을 “진정한 삶으로 실천한 신학”의 결과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위르겐 몰트만(Jürgen Moltmann)과 매튜 D. 커크패트릭(Matthew D. Kirkpatrick)의 주장을 분석하면서 본회퍼의 평화 사상과 그 실천의 양태를 재구성한다. 몰트만은 본회퍼가 평화를 주장하면서 히틀러 암살작전에 가담하게 된 것이 대리행위와 책임과 저항권이라는 신학적 담론에 따른 결정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커크패트릭은 본회퍼의 모순되는 면모가 평화를 위한 하나님의 뜻을 추구하려는 그의 일관된 신념과 상황의 조응이 빚어낸 긴장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두 학자의 주장에 기반하여 본고는 본회퍼가 “지금 바로 여기서” 평화를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음성에 충실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 저항을 결단했다고 추정한다. 그의 신학은 고난당한 자와 함께 하신 하나님을 따라서 고난 받는 이웃의 고통을 실체적으로 함께 나누는 행위를 담보하기 때문에 현재 나치에 의해 고통 받는 자들을 위해 저항을 결단하고 결행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그의 저항은 “지금 바로 여기서”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현재성(reality)을 구현한 것이며 평화의 진솔한 실천적 양태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ddressing whether he is a pacifist or assassinator, this paper defines Dietrich Bonhoeffer to be a theologian authentically practicing God’s peace. Based on the arguments of Jürgen Moltmann and Matthew D. Kirkpatrick, the paper traces how those two ironical images testify to his pacifism and its practices. Moltmann argues that his complicity in assassinating Hitler results from his determination encouraged by the theological discourse of vicarious representative action, answerability for the other, and the right of resistance. Kirkpatrick, on the other hand, emphasizes that his ironical images reflect the tension between his belief in God’s peace and current political situations. Under the tension Bonhoeffer decided to get involved in the assassination while trying to practice what God says about peace “here and right now.” Practicing theological discourses or seeking for what God says “here and right now,” he importantly states that Christians should take up neighbor’s sufferings as the crucified God does. And he decides to share sufferings of his fellow oppressed people by risking his life in resisting the Nazi regime. Accordingly, his resistance is not giving up God’s peace, but both the realization of God’s reality, i.e., what God says “here and right now,” and the expression of authentic practice of God’s peace.
목차
I. 평화를 만드는 사람
II. 저항의 씨앗
III. 정의로운 평화를 위한 저항의 결단
IV. 하나님이 직접 건네시는 목소리에 복종하는 자의 윤리
V. 결론: 바로 지금 여기서 울려 퍼지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복종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회는 다시 생동하는 신앙인을 길러낼 수 있을까? - 길희성, 『아직도 교회 다니십니까』 (대한기독교서회, 2015)
- [편집후기] 편집을 마치고 나서
- 본회퍼, 평화주의자인가 암살자인가?
- 한국 기독교의 정치사(IV): 4.19와 5.16 그리고 한국교회
- [특집 좌담] 오늘의 한국교회 연합운동과 분열의 반성
- WEA 복음주의 운동과 한국교회
- [권두 칼럼] 교권과 신학
-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연합해야 한다 : 교회 연합의 필연성에 대한 성서적 신학적 고찰
- 유럽의 개신교회 분열과 미국 교파주의 역사
- 한국 개신교회의 교파성과 연합 및 분열
- 해방 이후의 한국교회 분열 - 장로교회를 중심으로 한 역사적 고찰
- 전승, 살아 있는 삶의 역사 - 문동환, 『예수냐 바울이냐』 (삼인, 2015)
- WCC 세계교회 연합 운동과 한국교회 에큐메니칼 운동의 역사와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