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New Approach to Civil Liability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edical Practice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이재목(Jae Mok Lee)
- 간행물 정보
- 『과학기술과 법』제16권 제1호, 161~18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modifying the traditional civil liability principle for medical accidents caused by AI medical practices in the medical field, where the application area of AI technology is expanding. Although it is unlikely that AI will completely replace human clinicians in the short term, it is clear that AI medical systems will play an increasingly essential role in medical practice. There is considerable uncertainty about how AI medicine and civil liability will be structured and applied, especially given the pace of technological progress and the difficulty of accurately predicting its outcomes. What is clear, however, is that given the pace at which we are witnessing advances in AI technology, it is increasingly likely that fully autonomous medical robots will surpass human skills in certain medical fields and will be able to perform medical procedures on their own without any further human supervision. Currently, discussions are actively underway in the US, EU, and other countries on standards for judging negligence in AI medical practices, distribution of responsibility among various entities, the legal status of AI assuming fully autonomous AI, and measures for redressing damages. It is time to consider establishing a legal theory of responsibility that can flexibly respond to changes in AI technology while paying attention to international discussion trends.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의료분야에서 인공지능의 역할
Ⅲ. 주요 국가에서의 AI 의료의 규율 현황
Ⅳ. AI 의료행위에 대한 민사책임의 새로운 접근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