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혜의 집에 대한 고찰: 구타스와 이흐사노올루 비교 연구와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Discussion on the House of Wisdom: A Comparative Study of Gutas and Ihsanoğlu with Text Mining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중동학회
저자명
정우택(Woo Taek Jung ) 김은지(Eun-ji Kim)
간행물 정보
『한국중동학회논총』제46권 제1호, 227~26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마이야 왕조를 계승한 압바스 왕조는 새로운 정권을 수립하고 새로운 도시인 바그다드를 수도로 지정하였으며, 바그다드를 번영하는 경제 및 지적 활동의 중심지로 변모시켰다. 이러한 문화적 번영을 상징하는 핵심 기관은 “지혜의 집(Bayt al-Hikma)”으로, 이슬람 황금기의 상징으로 종종 이상화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당시의 역사적 기록이 부족하기 때문에 지혜의 집의 기능과 중요성에 대한 학자들의 해석은 매우 다양하다. 디미트리 구타스(Dimitri Gutas)와 에크멜레딘 이흐사노올루(Ekmeleddin İhsanoğlu)처럼 이 기관의 과도한 신화적 해석에 비판적인 입장을 공유하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관점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지혜의 집의 역할과 정의에 대한 구타스와 이흐사노올루의 해석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더 나아가, 이 학자들의 저작 중 일부에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이 기관과 관련된 핵심 어휘적 및 주제적 요소를 파악한다. 질적 접근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합함으로써, 본 연구는 압바스 왕조 시대의 지적 유산과 그 시대를 둘러싼 역사학적 담론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Abbasid Caliphate, which succeeded the Umayyad Caliphate, established a new regime and designated the new city of Baghdad as its capital, transforming it into a flourishing center of economic and intellectual activity. A key institution emblematic of this cultural prosperity was the “House of Wisdom (Bayt al-Hikma),” often idealized as a symbol of the Islamic Golden Age. However, due to the paucity of contemporaneous historical documentation, scholarly interpretations of the House of Wisdom’s function and significance vary widely. Even among scholars who share a critical stance against the over-mythologization of the institution - such as Dimitri Gutas and Ekmeleddin İhsanoğlu -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undert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terpretations presented by Gutas and İhsanoğlu concerning the role and definition of the House of Wisdom. Furthermore, it applies text mining techniques to selected works of these scholars to identify key lexical and thematic elements associated with this institution. By integrating qualitative and computational approaches, this study seeks to provide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intellectual legacy of the Abbasid era and the historiographical discourse surrounding one of its most iconic institutions.

목차

Ⅰ. 서론
Ⅱ. 지혜의 집에 대한 다양한 해석
Ⅲ. 구타스와 이흐사노울루의 지혜의 집에 대한 해석
Ⅳ.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지혜의 집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우택(Woo Taek Jung ),김은지(Eun-ji Kim). (2025).지혜의 집에 대한 고찰: 구타스와 이흐사노올루 비교 연구와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중동학회논총, 46 (1), 227-261

MLA

정우택(Woo Taek Jung ),김은지(Eun-ji Kim). "지혜의 집에 대한 고찰: 구타스와 이흐사노올루 비교 연구와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중동학회논총, 46.1(2025): 227-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