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적 개발사업의 지가 영향권 범위 추정에 관한 연구 : 수도권 택지개발사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ssessing the Geospatial Impact Range of Public Development Projects : A Case Study of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정형준(Hyung Joon Chung)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35권 제2호, 75~8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공익사업이 시행되면 사업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가가 상승하는데, 『토지보상법』에서는 이를 개발이익이라고 정의하고 보상액 산정시 배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무에서는 해당 사업과 무관한 인근 시군구의 평균 지가변동률을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을 통해 개발이익을 배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실제로 보상액에 반영되어야 할, 다른 사업으로 인한 지가상승분까지 배제하는 등 공익사업의 영향권을 과도하게 넓게 설정하고 있어 적정한 보상액이 산정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수도권 택지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헤도닉 모형을 적용하여 공적 개발사업이 주변 지역 지가에 대한 영향력이 어느 범위까지인지 실증적으로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택지개발사업의 영향권은 지구지정 전에는 평균적으로 2.2 ~ 5.5km, 지가상승이 가장 크게 이루어지는 지구지정 후부터 실시계획 승인일 단계에서는 6.3 ~ 7.1km로 추정되어 선행연구와 유사하였으며, 인근 시군구 혹은 읍면동 전체의 평균적인 지가변동률을 적용해야 할 만큼 넓지 않았다. 개발이익 배제를 위한 현행 방식의 문제점을 짚어 봤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향후 적정 보상액 산정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공적 개발사업으로 인한 지가변동
Ⅲ. 영향권 추정을 위한 실증분석
Ⅳ. 영향권 범위 추정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