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시 주거용 건축물 경매 빈도를 활용한 주거불안 지역 예측 및 검증
이용수 0
- 영문명
- Predicting and Verifying Housing Anxiety Areas in Seoul Using Residential Real-estate Auction Frequency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권형준(Hyeong Jun Kwon) 안용진(Yong Jin Ahn)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35권 제2호, 7~2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금리 기조와 전세 사기에 따른 주거불안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서울시 행정동 단위를 공간분석 단위로 설정하여 주거용 부동산 경매 예측 변수를 도출하고 시계열 분석과 딥러닝 기법을 통해 주거불안 지역을 예측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2017년부터 2022년까지 경매 데이터를 학습한 2023년 예측치와 실측치를 비교하고, 2017년부터 2023년까지 경매 데이터를 학습하여 2024년 상반기의 경매 발생 건수를 예측하였다. 주거유형을 아파트와 비아파트로 구분한 실증분석 결과, 모형 자체의 예측 정확도는 아파트가 더 높은 반면, 경매 분포 파악에 있어서는 비아파트의 예측이 더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비아파트 경매 발생이 집중된 지역은 주로 경제적 취약계층이 거주하여 주거불안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실증연구에서 분석된 비아파트 경매 발생 집중지역에 초점을 둔 전세사기 예방 및 피해지원 등의 주거안정 정책이 우선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variables predicting residential real estate auctions a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in Seoul, South Korea, where housing anxiety has become a social issue due to high interest rates and charter fraud. The study forecasted areas of housing instability using time-series analysis and deep learning models. Data from 2017 to 2022 were used to predict figures for 2023 , and those from 2017 to 2023 were used to predict the figures for the first half of 2024.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dictive accuracy of the model was higher for apartments than for non-apartments, largely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sample size between them. However, predicting the distribution of auctions was more effective for non-apartment properties because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cases of non-apartment auctions than those of apartment auctions. Moreover, economically vulnerable populations predominantly live in area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non-apartment auctions, and housing instability is likely to worsen in these areas. This study’s findings provide key policy implications for preemptive measures for mitigating housing anxiety, such as preventing charter fraud, supporting affected tenants, and addressing the risks of involuntary relocation due to auctions.
목차
Ⅰ. 연구 배경
Ⅱ. 선행연구 및 본 연구의 차별성
Ⅲ.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