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파트 가격 결정요인과 브랜드 가치 분석 연구 : 부산 동래구 가격상위지역과 하위지역의 미시적 특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Apartment Price and Brand Value : Focusing on the Micro-characteristics of the Upper and Lower Prices in Dongnae-gu, Busan
발행기관
한국부동산연구원
저자명
배명숙(Myung Suk Bae) 서정렬(Jeong Yeal Suh)
간행물 정보
『부동산연구』제35권 제2호, 23~4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수도권과 지방의 지역 간 격차에 더해 지방 내에서도 가격 격차가 심화되는 이중 양극화 상황에서 지방하위시장인 부산 동래구 온천동(가격상위지역)과 안락동(가격하위지역)간의 아파트 가격 결정요인과 브랜드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기점으로 가격 상승기와 하락기가 겹친 최근 5년간 동 지역에서 실거래된 아파트 거래건수 전수를 대상으로 3.3㎡당 아파트 매매 가격을 종속변수로 하고 구조, 단지, 입지 및 브랜드 특성이 반영된 12개 독립변수를 통해 5개 연도별 개별 횡단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브랜드 등 5개의 변수로 나타났다. 아파트 브랜드의 경우, 온천동은 아파트 가격 상승(2019년)과 하락(2022년) 초기는 정(+)의 영향, 이외는 부(-)의 영향이거나 유의성은 없었다. 반면, 안락동은 상승·하락기 관계없이 부(-)의 영향으로 비 브랜드 아파트 가격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비 브랜드 아파트라도 신규 지하철 개설 등의 개발 호재가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지속적인 인구감소 등으로 사업성이나 분양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방 부동산시장 측면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마케팅 소구점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관련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apartment prices and brand differences in Oncheon-dong (an upper-price area) and Allak-dong (a lower-price area), local submarkets located in Dongnae-gu, Busan, under the situation of double polarization. It also investigates the gap between region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provinces. The apartment sales price per 3.3㎡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for the total number of apartment transactions in the region over the past five years, during the period of price increase and decrease starting in 2019. An individual cross-section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5 years was conducted and compared using 12 independent variables reflecting structure, complex, location, and brand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revealed that five variables, including br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apartment brands, Oncheon-dong showed a positive effect on apartment prices (2019) and an early decline (2022), with no negative effect or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other hand, the price of nonbranded apartments increased due to the negative effect, regardless of the period of increase or decrease. This means that even for nonbranded apartments, favorable developments such as the opening of new subways can affect apartment price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marketing appeal in the local real estate market, which has relatively low business feasibility or presale potential due to continuous population declin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Ⅲ. 자료 및 분석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명숙(Myung Suk Bae),서정렬(Jeong Yeal Suh). (2025).아파트 가격 결정요인과 브랜드 가치 분석 연구 : 부산 동래구 가격상위지역과 하위지역의 미시적 특성을 중심으로. 부동산연구, 35 (2), 23-43

MLA

배명숙(Myung Suk Bae),서정렬(Jeong Yeal Suh). "아파트 가격 결정요인과 브랜드 가치 분석 연구 : 부산 동래구 가격상위지역과 하위지역의 미시적 특성을 중심으로." 부동산연구, 35.2(2025): 23-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