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용후핵연료의 장기 건식 건전성 성능과 주요 열화 기구에 관한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Review on Spent Nuclear Fuel Performance and Degradation Mechanisms under Long-term Dry Storage
발행기관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저자명
김주성 국동학 심지형 김용수
간행물 정보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Vol.11 No.4, 333~34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국내에서도 원전 부지 내에 건설된 습식저장조의 용량이 곧 포화될 것으로 예상되어 사용후핵연료의 건식저장에 관한논의가 활발하다. 이 논문에서는 앞으로 다양하게 논의될 저장시스템의 안전성과 함께 장기 건식저장 시 발생하는 사용후핵연료의 특성 및 건전성 변화에 대해 이제까지 국내외에서 연구 보고된 내용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향후 추구해야 할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건식저장 기간 동안 진행될 수 있는 여러 피복관 열화기구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기구는크립 변형과 수소화물에 의한 영향이었으며, 이들이 사용후핵연료 장기 건식저장 시 규제기술기준의 주요 근간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과거에는 피복관의 크립 변형이 가장 중요한 열화기구로 평가되었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를 통해 수소화물에 의한 영향이 더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고 이는 미국의 규제기준과 새로운 온도 범위를 제시하고 있는 일본의규제기준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소화물에 의한 영향이 발생하는 응력과 온도 조건을 명확히 규명할 수있는 연구 자료가 충분하지 못하며, 나아가 사용후핵연료의 취급 시 거동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할 부분으로드러났다. 따라서 국내 사용후핵연료 특성에 맞는 건식저장조건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국내에서도 본격적인 연구를 통해 이들 자료에 대한 충분한 생산과 평가 및 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As the capacity of spent nuclear fuel storage pool at reactor sites becomes saturated in ten years, long term drystorage strategy has been recently discussed as an alternative option in Korea. In this study, we reviewed safetycriteria-related research results on spent nuclear fuel performance and integrity under long-term dry storage andproposed the direction and the scope of future domestic research and development. Creep and hydride effect inrelation to the embrittlement are known to be the major degradation mechanisms of the spent fuels during the longterm dry storage. However, recen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hydride reorientation and hydride embrittlementare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to the spent fuel integrity. Accordingly safety criteria of US and Japan for thestorage system are basically founded on those mechanisms. However, in Korea, not only in-pile but out-of-pileexperimental data have not been generated to understand fuel cladding degradation and to determine the criteriato ensure the safety. In addition, the transient behavior of the spent fuel during transportation also needs to bethoroughly examined. Therefore, various experimental research and development will be required to establish ourown safety criteria for future long-term dry storage of domestic spent fuel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성,국동학,심지형,김용수. (2013).사용후핵연료의 장기 건식 건전성 성능과 주요 열화 기구에 관한 고찰.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11 (4), 333-349

MLA

김주성,국동학,심지형,김용수. "사용후핵연료의 장기 건식 건전성 성능과 주요 열화 기구에 관한 고찰."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11.4(2013): 333-3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