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Maturity and the Impact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민혜(Min Hye Kim) 오인수(In Soo Oh)
- 간행물 정보
- 『미래교육학연구』제38권 제2호, 61~9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성숙도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하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각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서로 다른 진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파악하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2007) 1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학생 924명자료를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또한 R3STEP 방법을 사용하여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잠재프로파일에 미치는 예측력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성숙도에 따라 ‘결단형 계획자’, ‘탐색형 성장자’, ‘갈등형 모색자’, ‘미결정 독립자’ 등 4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진로 결정과 성숙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각 프로파일 간의 차별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학술적 기여: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 내 다양한 진로 특성을 잠재프로파일분석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맞춤형 진로상담 프로그램 설계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대학생의 진로 발달 지원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atent profiles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maturity,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each profile.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fferent career characteristic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clarify how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ffect their career development process.
Research Method: Using data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YP2007), 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with 924 university students. Additionally, the R3STEP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predictiv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the latent profiles.
Research Results: Four latent profiles were derived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maturity: 'Decisive Planner,' 'Exploring Grower,' 'Conflict Seeker,' and 'Undecided Independent.'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 higher self-esteem and self-efficacy had more positive outcomes in career decision and maturity, and the differential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across profiles was confirmed.
Academic Contribution: This study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by deeply analyzing the diverse career characteristics within the university student population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It clarifies the impact of self-esteem and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making and maturity. Th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signing tailored career counseling programs and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support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8 Contents
- 中华思想文化术语翻译教学的体认模式研究
- 生成式人工智能赋能大学生价值观培育:价值功用、现实隐忧与优化路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