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부지의 지구화학 특성 Ⅱ.암석 및 광물

이용수  0

영문명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ju LILW Repository Ⅱ.Rock and Mineral
발행기관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저자명
김건영 고용권 최병영 신선호 김두행
간행물 정보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Vol.6 No.4, 307~32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주 중저준위처분장의 안전성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지화학 모델링의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처분부지의 암석, 광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편광 현미경 관찰, X-선 회절분석, 주원소 및 미량원소 화학분석, 미세조직관찰을 위한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안정동위원소분석이 수행되었다. 조사지역내에는 지역적으로 파쇄대가 발달하여 있으며 이 파쇄대를 따라 매우 다양한 변질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처분부지의 모암은 화강섬록암 및 섬록암으로서 지표지질조사시 이들의 관계는 점이적으로 변하는 데에 비해 화학적으로는 비교적 명확하게 구별되어 화강섬록암이 섬록암에 비해 높은 SiO2 함량, 낮은 MgO, Fe2O3 함량을 보여준다. 그러나 SiO2의 증가에 따라 각 주원소들의 변화경향이 동일선상에 놓여있어서 이들이 동일한 마그마 기원일 가능성을 지시한다. 처분부지내의 주원소들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면, 섬록암 지역이 화강섬록암 지역에 비해 낮은 SiO2, Al2O3, Na2O, K2O 및 높은 CaO, Fe2O3분포를 보여주어 화강섬록암과 섬록암 지역의 차이가 명확하다. 이 중 CaO와 Na2O의 분포 양상은 섬록암과 화강섬록암 지역 간의 차이가 더욱 분명하고 그 증감 경향이 거의 정확하게 상반되어 있어 주구성광물인 사장석의 조성변화가 처분부지 암석의 조성을 변화시키는 가장 큰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시추코아에서 확인된 단열광물은 몬모릴로나이트, 제올라이트광물, 녹니석, 일라이트, 방해석, 황철석 등이다. 일반적으로 열수변질광물로 알려져 있는 황철석과 로먼타이트가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조사지역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광화작용 혹은 열수변질작용이 있었음을 지시한다. 단열대 내 황철석의 황 안정동위원소분석과 단열충전광물들의 산소 및 수소 안정동위원소 분석결과 역시 이들이 마그마 기원임을 지시한다. 따라서 처분부지 내 단열충전광물들은 단열대를 따르는 지하수와의 단순한 물-암석 반응 이외에 광범위한 마그마 기원의 열수작용에 의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Geochemical study on the rocks and minerals of the Gyeongju low and intermediate level waste repositor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ovide geochemical data for the safety assessment and geochemical modeling. Polarized microscopy, X-ray diffraction method, chemical analysis for the major and trace element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stable isotope analysis were applied. Fracture zones are locally developed with various degrees of alteration in the study area. The study area is mainly composed of granodiorite and diorite and their relation is gradational in the field. However, they could be easily distinguished by their chemical property. The granodiorite showed higher SiO2 content and lower MgO and Fe2O3 contents than the diorite. Variation trends of the major elements of the granodiorite and diorite were plotted on the same lin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SiO2 content suggesting that they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same magma. Spatial distribution of the various elements showed that the diorite region had lower SiO2, Al2O3, Na2O and K2O contents, and higher CaO, Fe2O3 contents than the granodiorite region. Especially, because the differences in the CaO and Na2O distribution were most distinct and their trends were reciprocal, the chemical variation of the plagioclase of the granitic rocks was the main parameter of the chemical variation of the host rocks in the study area. Identified fracture-filling minerals from the drill core were montmorillonite, zeolite minerals, chlorite, illite, calcite and pyrite. Especially pyrite and laumontite, which are known as indicating minerals of hydrothermal alteration, were widely distributed in the study area indicating that the study area was affected by mineralization and/or hydrothermal alteration. Sulfur isotope analysis for the pyrite and oxygen-hydrogen stable isotope analysis for the clay minerals indicated that they were originated from the magma.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fracture-filling minerals from the study area were affected by the hydrothermal solution as well as the simply water-rock interac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건영 ,고용권 ,최병영 ,신선호 ,김두행. (2008).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부지의 지구화학 특성 Ⅱ.암석 및 광물.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6 (4), 307-327

MLA

김건영 ,고용권 ,최병영 ,신선호 ,김두행. "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부지의 지구화학 특성 Ⅱ.암석 및 광물."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6.4(2008): 307-3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