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방사성폐기물의 심층 처분을 위한 부지특성조사 방법론 해외 사례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Review of Site Characterization Methodology for Deep Geological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발행기관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저자명
박경우 김경수 고용권 조영욱 지성훈
간행물 정보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Vol.15 No.3, 239~25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방사성폐기물 지층 처분을 위한 부지 선정 과정에서 심층 처분장의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입력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부지특성조사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부지특성조사를 선도하여 수행하였던 해외 사례를 분석하고, 국내에서 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해 수행해야 할 부지특성조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IAEA가 고려하는 부지특성조사 방법은 단계별 부지특성조사로 본 논문에서 소개된 해외의 경우도 이 방법을 따르고 있는데, 부지특성조사는 시기별, 조사 항목별로 다수의지역에서 개략적인 부지의 정보를 도출하는 예비 부지특성조사와 조사 결과 선정된 지역에서 보다 자세한 부지특성자료를생산하기 위한 상세 부지특성조사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상세 부지특성조사 단계에서는 조사지역에 장심도 시추공을 굴착하여 심부 영역에 대한 지질 특성을 바탕으로, 수리지질, 수리-지화학, 암석역학, 열, 용질이동에 대한 특성을 도출해야 한다. 단계별 부지특성조사를 통해 도출된 부지 고유의 지질환경 특성은 부지특성모델로 구축되어야 하는데, 이를 종합하여해석해야 비로소 조사지역의 부지특성을 이해하고, 지층 처분에 보다 유리한 부지를 최종 후보지역으로 선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해외 사례를 살펴본 결과, 부지특성조사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은 대략 7~8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나, 이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시스템이 뒷받침 되지 않을 경우 보다 지연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process of site selection for a radioactive waste disposal, site characterization must be carried out to obtain input parameters to assess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deep geological repository. In this paper, methodologies of site characterization for radioactive waste disposal in Korea were suggested based on foreign cases of site characterization. The IAEA recommends that site characterization for radioactive waste disposal should be performed through stepwise processes, in which the site characterization period is divided into preliminary and detailed stages, in sequence. This methodology was followed by several foreign countries for their geological disposal programs. General properties related to geological environments were obtained at the preliminary site characterization stage; more detailed sit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detailed site characterization stage.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of geology, hydro-geology, geochemistry, rock mechanics, solute transport and thermal properties at a site have to be combined and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site descriptive model. Based on this site descriptive model, the site characteristics can be evaluated to assess suitability of site for radioactive waste disposal. According to foreign site characterization cases, 7 or 8 years are expected to be needed for site characterization; however, the time required may increase if the no proper national strategy is provid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우,김경수,고용권,조영욱,지성훈. (2017).방사성폐기물의 심층 처분을 위한 부지특성조사 방법론 해외 사례 연구.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15 (3), 239-256

MLA

박경우,김경수,고용권,조영욱,지성훈. "방사성폐기물의 심층 처분을 위한 부지특성조사 방법론 해외 사례 연구."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15.3(2017): 239-2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