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연소도 사용후 핵연료의 가열산화와 고온가열을 통한 미세조직 변화고찰

이용수  0

영문명
Study of morphology on the Oxidation and the Annealing of High Burn-up UO2 Spent Fuel
발행기관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저자명
김대호 방제건 양용식 송근우 이형권 권형문
간행물 정보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Vol.3 No.4, 301~307쪽, 전체 7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사후 핵연료 가열(PIA장비)를 이용한 고연소도 UO2 사용후 핵연료의 산화 및 가열후 미세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울진 2호기에서 한국원자력연구소 조사후시험시설로 이송된 국산 경수로용 고연소도 사용후 핵연료는 봉평균 연소도가 57,000 MWd/tU-rod avg.이였다. 본 시험에 사용된 시편은 국부연소도 65,000 MWd/tU UO2 소결체의 고형체 200 mg을 사용하였다. 본 시편을 사용후 핵연료 가열(PIA) 시험장비를 이용하여 핫셀 내에서 3시간의 산화시험과 연속적으로 1,400 ℃ 까지 가열하였다. 결정립경계까지의 산화를 위하여 500 ℃에서 헬륨 50 ㎖, 표준공기 100 ㎖를 혼합한 산화분위기로 3시간을 유지하였다. 핵분열기체 방출거동을 알기위해 시험 전과정중에 85Kr의 방출량을 베타 측정기와 감마 측정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 하였다. 가열시험이 종료된 후 전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험결과 가열하는 동안 핵분열생성물은 UO2 기지의 결정립경계와 표면으로 이동된 것을 관찰하였다. 이 시편은 환원과정을 통하여 재구조화 되었고, 5 ~ 10 ㎛ 정도의 결정립크기를 가 진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morphology of the high burnup UO2 spent fuel, which was oxidized and annealed in a PIA (Post Irradiation Annealing) apparatus, has been observed. The high burnup fuel irradiated in Ulchin Unit 2, average rod burnup 57,000 MWd/tU, was transported to the KAERI's PIEF. The test specimen was used with about 200 of the spent UO2 fuel fragment of the local burnup 65,000 MWd/tU. This specimen was annealed at 1400 for 4hrs after the oxidation for 3hrs to grain boundary using the PIA apparatus in a hot-cell. In order to oxidize the grain boundary, the oxidation temperature increased up to 500 and held for 3hrs in the mixed gas (60 He and 100 STD-air) atmosphere. The amount of 85Kr during the whole test process was measured to know the fission gas release behavior using the online system of a beta counter and a gamma counter. The detailed micro-structure was observed by a SEM to confirm the change of the fuel morphology after this test. As the anneal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fission products were observed to move to the grain surface and grain boundary of the UO2 matrix. This specimen was re-structured through the reduction process, and the grain sizes were distributed from 5 to 10.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호,방제건,양용식,송근우,이형권,권형문. (2005). 고연소도 사용후 핵연료의 가열산화와 고온가열을 통한 미세조직 변화고찰.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3 (4), 301-307

MLA

김대호,방제건,양용식,송근우,이형권,권형문. " 고연소도 사용후 핵연료의 가열산화와 고온가열을 통한 미세조직 변화고찰."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3.4(2005): 301-3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