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s-흡착 CHA-Cs 및 CHA-PCFC-Cs 제올라이트계와 Sr-흡착 4A-Sr 및BaA-Sr 제올라이트계의 고온 열분해

이용수  0

영문명
High-temperature Thermal Decomposition of Cs-adsorbed CHA-Cs and CHA-PCFC-Cs Zeolite System, and Sr-adsorbed 4A-Sr and BaA-Sr Zeolite System
발행기관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저자명
이일희 김지민 김형주 김익수 정동용 김광욱 이근영 서범경
간행물 정보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Vol.16 No.1, 49~5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공학 > 공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온 열분해를 통한 Cs, Sr 등 고방사성핵종의 고정화를 위하여 각각 Cs이 흡착된 CHA (K형 Chabazite zeolite)-Cs, CHA-PCFC (potassium cobalt ferrocyanide)-Cs 및 Sr이 흡착된 4A-Sr, BaA-Sr 등의 제올라이트 계에서 TGA 및 XRD에 의한배소 온도 변화에 따른 상변환을 고찰하였다. CHA-Cs 제올라이트 계의 경우 900℃ 까지는 CHA-Cs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1,000℃에서 무정형 단계를 거친 후 1,100℃에서 pollucite (CsAlSi2O6)로 재결정 되었다. 반면에 CHA-CFC-Cs 제올라이트 계는 700℃ 까지는 CHA-PCFC-Cs 형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900∼1,000℃ 사이에서 구조가 파괴되어 무정형으로 상변환된 후 1,100℃에서 pollucite로 재결정 되었다. 한편 4A-Sr 제올라이트 계의 경우 700℃ 까지는 4A-Sr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800℃에서 무정형으로 상변환 된 다음 900℃에서는 Sr-feldspar (SrAl2Si2O8, hexagonal)으로, 1,100℃에서 SrAl2Si2O8 (triclinic)로 재결정 되었다. 그러나 BaA-Sr 제올라이트 계의 경우는 500℃ 이하부터 구조가 파괴되기 시작하여 500∼900℃ 에서 무정형 단계를 거친 후, 1,100℃에서 Ba/Sr-feldspar (Ba0.9Sr0.1Al2Si2O8 및 Ba0.5Sr0.5Al2Si2O8 공존)로 재결정 되었다. 상기제올라이트 계 모두 온도 증가에 따라 탈수/(분해)→ 무정형→ 재결정의 단계를 거쳐 광물상으로 재결정 되었으며, 고온 열분해 과정에서의 Cs 및 Sr의 휘발성, 침출성 등의 추가 연구가 요구되지만 각 제올라이트 계에 흡착된 Cs 및 Sr은 pollucite나Sr-feldspar, Ba/Sr-feldspar 등으로 광물화 하여 Cs과 Sr을 배소체/(고화체) 내에 완전히 고정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For the immobilization of high-radioactive nuclides such as Cs and Sr by high-temperature thermal decomposi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ase transformation with calcined temperature by using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 and XRD (X-ray diffraction) in the Cs-adsorbed CHA (chabazite zeolite of K type)-Cs and CHA-PCFC (potassium cobalt ferrocyanide)-Cs zeolite system, and Sr-adsorbed 4A-Sr and BaA-Sr zeolite system, respectively. In the case of CHA-Cs zeolite system, the structure of CHA-Cs remained at up to 900℃ and recrystallized to pollucite (CsAlSi2O6) at 1,100℃ after undergoing amorphous phase at 1,000℃. However, the CHA-CFC-Cs zeolite system retained the CHA-PCFC-Cs structure up to 700℃, but its structure collapsed in 900~1,000℃, and then transformed to amorphous phase, and recrystallized to pollucite at 1,100℃. In the case of 4A-Sr zeolite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of 4A-Sr maintained up to 700℃ and its phase transformed to amorphous at 800℃, and recrystallized to Sr-feldspar (SrAl2Si2O8, hexagonal) at 900℃ and to SrAl2Si2O8 (triclinic) at 1,100℃. However, the BaA-Sr zeolite system structure began to break down at below 500℃, and then transformed to amorphous phase in 500~900℃ and recrystallized to Ba/Sr-feldspar (coexistence of Ba0.9Sr0.1Al2Si2O8 and Ba0.5Sr0.5Al2Si2O8) at 1,100℃. All of the above zeolite systems recrystallized to mineral phase through the dehydration/(decomposition)→ amorphous → recrystallization with increasing temperature. Although further study of the volatility and leachability of Cs and Sr in the high-temperature thermal decomposition process is required, Cs and Sr adsorbed in each zeolite system are mineralized as pollucite, Sr-feldspar and Ba/Sr-feldspar. Therefore, Cs and Sr seen to be able to completely immobilize in the calcining wasteform/(solidified wastefor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일희 ,김지민 ,김형주,김익수,정동용 ,김광욱,이근영 ,서범경. (2018).Cs-흡착 CHA-Cs 및 CHA-PCFC-Cs 제올라이트계와 Sr-흡착 4A-Sr 및BaA-Sr 제올라이트계의 고온 열분해.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16 (1), 49-58

MLA

이일희 ,김지민 ,김형주,김익수,정동용 ,김광욱,이근영 ,서범경. "Cs-흡착 CHA-Cs 및 CHA-PCFC-Cs 제올라이트계와 Sr-흡착 4A-Sr 및BaA-Sr 제올라이트계의 고온 열분해."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 16.1(2018): 49-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