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질적 메타요약 방법을 통해 살펴본 통합교육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인식 및 그에 따른 통합교육 관련 지원 요구

이용수  128

영문명
A Qualitative Meta-Summary of Non-Disabled Stud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and Their Support Needs for Inclusive Education
발행기관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저자명
백지은(Ji-Eun Baek) 김애화(Ae-Hwa Kim) 김병룡(Byeong-Ryoung Kim) 김의정(Ui-Jung Kim)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논집』제30권 제2호, 51~8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인식 및 그에 따른 통합교육 관련 지원 요구를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질적 메타요약 방법에 따라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분석대상연구 10편을 선정하고, 선정된 문헌을 바탕으로 27개의 축약진술문을 도출하고 각각의 빈도효과 크기, 강도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비장애학생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물리적 통합, 사회적 통합, 교육과정적 통합 차원에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적 통합 차원에서 다양한 축약진술문이 도출되었다. 둘째, 통합교육 지원 요구는 교사 차원, 학생 차원, 제도 및 시설 차원, 공동체 차원에서 다양하게 도출되었으며 특히 학생 차원에서 많은 축약진술문이 도출되었다. 결론: 첫째, 비장애학생을 통합교육의 주요 주체로 인정하여 이들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야 한다. 둘째,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제도 차원의 개선과 교사를 위한 지원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n-disabled stud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and their support needs for achieving inclusive education. Method: Using the qualitative meta-summary method, 10 studies were selected as the analysis targets to align with the research purpose. Based on the selected studies, 27 summary statements were derived, and the frequency effect sizes and intensity effect sizes for each statement were calculated. Resul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non-disabled students' perceptions revealed diverse perspectives across the dimensions of physical, social, and curricular integration, with the most condensed statements emerging in the dimension of social integration. Second, the support needs for inclusive education for all were identified across various levels, including teachers, students, institutional and infrastructural aspects, and community involvement, with the majority of condensed statements focused on the student level. Conclusion: Based on findings, the key discussions include: (1) the need to recognize non-disabled students as key stakeholders in inclusive education an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and needs, and (2)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 improvements and support for teachers to ensure the success of inclusiv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지은(Ji-Eun Baek),김애화(Ae-Hwa Kim),김병룡(Byeong-Ryoung Kim),김의정(Ui-Jung Kim). (2025).질적 메타요약 방법을 통해 살펴본 통합교육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인식 및 그에 따른 통합교육 관련 지원 요구. 특수교육논집, 30 (2), 51-81

MLA

백지은(Ji-Eun Baek),김애화(Ae-Hwa Kim),김병룡(Byeong-Ryoung Kim),김의정(Ui-Jung Kim). "질적 메타요약 방법을 통해 살펴본 통합교육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인식 및 그에 따른 통합교육 관련 지원 요구." 특수교육논집, 30.2(2025): 51-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