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Dissolved Ions on Geochemical Dissolution of Uranium in KURT Granite
- 발행기관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 저자명
- 조완형 백민훈 류지훈 이재광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JNFCWT)』Vol.16 No.3, 281~29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심지층 처분 대상 암종으로 고려되는 화강암에서 방사성핵종의 장기 거동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화강암에 존재하는 우라늄의 용출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반응 시작 후부터 10일 동안의 반응기간 중 다른 반응용액에 비해 CO3 2- 농도가 높은 UD-CO3 및 UD-Bg 반응용액에서 우라늄의 용출량이 다소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Na 또는 Ca가 다량 함유된 반응용액에서 반응 60일 이후 우라늄 용출량이 다소 급격히 증가하였다. 각 반응용액에 의한 반응 270일까지의 우라늄의 용출량은 UD-CO3 (44.61 μg·L-1), UD-Bg (41.01 μg·L-1), UD-Na (26.87 μg·L-1), UD-Ca (20.26 μg·L-1), UD-CaSi (17.03 μg·L-1), UD-Si (10.47 μg·L-1)으로 지속적으로 증가 하였으나, 반응 270일 이후 우라늄 용출량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는 화강암 시료 내에 존재하는 우라늄이 반응용액과 상호반응에 의해 최대 용출될 수 있는 한계에 도달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우라늄 용출은 혼합된 반응용액 내의 CO3 2- 존재와 수질의 지화학적 유형에 따라 우라늄의 용출 농도 및 용출 최대치가 나타나는 시점이 다르게 확인되었다. 이는 시료와 반응용액의 상호반응 과정에서 용존이온의 영향에 의해 화강암시료와 반응용액 사이에 반응속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understand the long-term behavior of radionuclides in granite environments, geochemic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uranium in granitic host rock of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were investigated by dissolution experiment with different reaction time and solutions. In the dissolution experiment, significantly increased dissolution levels of uranium from granite powder samples were identified during the reaction time of 0~10 days for reaction solutions (UD-CO3 and UD-Bg)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O3 2-.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ly increased dissolution levels of uranium were also identified for reaction solutions containing Na and Ca after 60 days. Dissolution of uranium continuously increased in reaction solutions of UD-CO3 (44.61 μg·L-1), UD-Bg (41.01 μg·L-1), UD-Na (26.87 μg·L-1), UD-Ca (20.26 μg·L-1), UD-CaSi (17.03 μg·L-1), and UD-Si (10.47 μg·L-1) in the experimental period of ~270 days. However, after day 270, dissolution of uranium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This is thought to have occurred because existing uranium in granite samples reached the limit of dissolution by interaction with reaction solutions. Concentrations of dissolved uranium and points of maximum concentration value were found to differ depending on the CO3 2- presence in the mixed reaction solution and on the geochemical type of the water. It is estimated that differences in the reaction rate between the granite sample and the reaction solution are due to the influence of dissolved ions in the reaction solutio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핵임계 안전성 검증 방법론 정립 및 적용
- 방사성 노블가스 측정을 위한 최소검출방사능 산출의 조절인자
- 고리1호기 증기발생기 제염해체 시 작업자 피폭선량 평가 및 저감화 방안
- Li-K-Cd 합금을 이용한 LiCl-KCl 용융염에서 금속염화물의 제거
- 전해환원 공정의 우라늄 산화물 환원 거동 모사를 위한 Phase-Field 이론 적용
- MonteCarlo 코드를 이용한 PWR 일차 계통 선원항 평가에 관한 연구
-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열팽창계수 추정
- Flow Characteristics Evaluation in Reactor Coolant System for Full System Decontamination of Kori-1 Nuclear Power Plant
- KURT 화강암 내 우라늄의 지화학적 용출특성에 미치는 용존이온의 영향
- 질산용액으로부터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Am(Ⅲ)과 Eu(Ⅲ)의 추출 거동
- Design of a Mixed-Spectrum Reactor With Improved Proliferation Resistance for Long-Lived Applications
- Systems Analyses of Alternative Technologies for the Recovery of Seawater Uranium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