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의 학업지속을 위한 라이프스킬 프로그램 적용 사례
이용수 0
- 영문명
- Application Cases of Life Skills Program for Students at Risk of Drop-out
- 발행기관
-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 저자명
- 우승환(Seunghwan Woo) 양윤경(Yunkyung Yang) 박제일(Jeil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컨설팅코칭연구』제8권 제4호, 61~8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변화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에 수탁된 고등학생 5명으로, 프로그램에 8주 동안 매주 1회 100분씩 참여했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라이프스킬 검사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의 평균 점수를 비교했다. 그리고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라이프스킬과 학업에 관한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라이프스킬 평균 점수는 사전보다 사후에 높게 나타났다. 이들은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학업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학업 의지가 향상되고 학업태도가 개선되었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점에서 라이프스킬 프로그램은 학업중단 위기청소년들의 내적 자원과 역량의 발달을 촉진하고 학업 적응과 지속을 돕는 프로그램으로써 활용할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a life skills program to students at risk of drop-out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iv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alternative education.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nce a week for 100 minutes for eight week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Korean Life Skills Scale for Sport (Lim et al., 2019) to compare the average scor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we looked at changes in life skills and academic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the average life skills scor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higher after the study than before. Additionally, they reported that setting academic goals in the program and working to achieve them increased their motivation to study and modified their academic attitudes. Ultimately, the life skills program promotes the development of intern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of students at risk of drop-out. It is also worth utilizing as a program to help them adapt to and continue their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 기업 및 성인교육 글로벌화를 위한 이슈와 과제 :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 코칭리더십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잡크래프팅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년 여성의 디지털 평생교육 참여 경험의 의미와 HRD 관점의 실천 방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