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집2] 혐오표현의 판단기준 - 차별금지사유로서 성적 지향을 중심으로 -

이용수  0

영문명
Criteria for the Hate Speech - Focus on Sexual Orientation as a Reason for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
발행기관
헌법재판연구원
저자명
이준일(Yi-Zoon-Il)
간행물 정보
『헌법재판연구』제4권 제2호, 99~12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럽과 캐나다는 차별을 금지하는 개별적 혹은 일반적 법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법제에는 일반적으 로 괴롭힘이 차별의 한 유형으로 열거되어 있다. 중요한 것은 최근 소수자 집단에 대해 가해지는 혐오표 현, 특히 특정한 성적 지향을 가진 사람들의 집단에 대한 혐오표현은 인격권 침해행위라는 성격과 함께 평등권 침해행위라는 성격을 동시에 가진다는 점에서 차별의 범주에 포함시켜 법적으로 규제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성적 지향을 차별금지사유에 포함시키면서 괴롭힘을 차별의 한 유형으로 열거 하는 경우에 특정한 성적 지향을 가진 성소수자들에 대한 혐오표현은 성적 지향을 이유로 한 차별행위로 간주되어 법적 규제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차별은 평등의 반대개념으로 평등이 비교를 본질로 하면서 그 판단기준으로 합리성을 요청한다는 점에서 차별의 범주로 이해되는 혐오표현의 판단에서 합리성을 기준 으로 삼아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기는 어렵다. 혐오표현의 본질은 인격권을 침해하는 행위에 가깝기 때 문에 오히려 기본권들이 서로 충돌했을 때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과잉금지원칙을 혐오표현의 판단기준으 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인다.

영문 초록

Europe and Canada have individual or general legislation prohibiting discrimination. Such legislation generally enumerates the harassment as a type of discrimina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recent reality of increasing hate speech to the group of minorities, especially the group of people with a particular sexual orientation (sexual minority), needs to be regulated by law, because it is not only the violation of the right to equality but also the right to personality. Accordingly, when the sexual orientation is included in the grounds for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nd the harassment is enumerated as a type of discrimination, the hate speech to the sexual minority having a specific sexual orientation is regarded as discrimination based on sexual orient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criterion of judgement should also be the rationality when judging whether a certain expression is able to belong to the hate speech, which is understood as a category of discrimination, because the discrimination is the opposite of equality, the essence of equality is the comparison and the criterion of the equality is the rationality. It is desirable that the principle of excessiveness prohibition, which is generally applied when basic rights collide with each other, should be used as a criterion for the hate speech, because the essence of hate speech is close to the act of infringing the rights to personalit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준일(Yi-Zoon-Il). (2017).[특집2] 혐오표현의 판단기준 - 차별금지사유로서 성적 지향을 중심으로 -. 헌법재판연구, 4 (2), 99-121

MLA

이준일(Yi-Zoon-Il). "[특집2] 혐오표현의 판단기준 - 차별금지사유로서 성적 지향을 중심으로 -." 헌법재판연구, 4.2(2017): 99-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