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집1] 국제인권규약과 헌법상 기본권
이용수 0
- 영문명
- Internationale Pakte über Menschenrechte und Grundrechte in der Verfassung
- 발행기관
- 헌법재판연구원
- 저자명
- 정광현
- 간행물 정보
- 『헌법재판연구』제6권 제1호, 43~7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국제인권협약과 헌법상 기본권 사이의 관계를 다룬다. 이 연구의 계기를 제공한 것은 헌법 제
6조 제2항이다. 이에 따르면, 외국인은 국제법과 조약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 지위가 보장된다. 즉, 국
제인권협약에 의해 외국인에게 여러 인권이 귀속되어 있다면, 해당 외국인은 대한민국에 대해 그 인권을
존중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의 인권 그 자체와 후자의 존중에 관한 권리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전자는 협약에 의해 정해진 것이라면, 후자는 헌법 자체에 의해 정해진 권리이다. 사견으로는, 이
와 같은 종류의 권리는 일종의 기본권으로서 성격이 있다고 할 것이다. 다시 말해, 그 권리는 헌법적 서
열을 지닌다.
유사한 것이 헌법 제37조 제1항에도 적용된다. 이 조항에 따르면, 국민의 자유와 권리는 헌법에 열거
되지 아니한 이유로 경시되지 아니한다. 다시 말해, 헌법 제37조 제1항에서의 ‘국민의 자유와 권리’는 헌
법에 열거된 기본권과 동일하게 보장되어야 한다. 사견으로는, 헌법 제37조 제1항에서의 ‘열거되지 아니
한 국민의 자유와 권리’에 국제인권규약상의 인권도 포함된다. 그리하여 결과적으로 국민은 이러한 인권
이 헌법 제37조 제1항에 의하여 헌법적 서열을 가지는 자신의 주관적 공권, 즉 기본권의 목록에 편입되
어 있음을 주장할 수 있게 된다.
영문 초록
In dieser Arbeit geht es um das Verhältnis zwischen Internationalen Pakten über
Menschenrechte und den Grundrechten in der Verfassung. Einen Anstoß zu dieser
Untersuchung liefert eine Vorschrift, nämlich Art. 6 Abs. 2 KV. Sie lautet: die Stellung
von Ausländern, wie sie durch das Völkerrecht bzw. Staatsverträge bestimmt wird,
ist zu gewährleisten. Das heißt, wenn Ausländer nach einem Inernationalen Pakt eine
Menge von Menschenrechten haben, können sie geltend machen, dass der Staat ihre
Menschenrechte beachten muss. In diesem Zusammenhang sollte man zwischen jenen
Menschenrechten als solchen und diesem Beachtungsanspruch unterscheiden. Die
Erstere sind nach dem Internationalen Pakt bestimmt, während der Letztere nach
dem KV selbst bestimmt ist. Meiner Meinung nach ist ein derartiger Anspruch an
sich als eine Art Grundrecht zu qualifizieren; er hat nämlich den Verfassungsrang.
Ein Ähnliches gilt auch für Art. 37 Abs. 1 KV. Nach dieser Vorschrift dürfen die
Freiheiten und Rechte der Staatsbürger nicht deswegen vernachlässigt werden, weil
sie nicht in der Verfassung enumeriert sind. Das heißt, ‘die Freiheiten und Rechte
der Staatsbürger’ im Sinne von Art. 37 Abs. 1 KV sind genauso wie diejenigen
Grundrechte, die in der Verfassung enumeriert sind, zu gewährleisten. Meines
Erachtens gehören Menschenrechte, die durch eine Reihe von Internationalen Pakten
über Menschenrechte bestimmt sind, den Freiheiten und Rechten der Staatsbürger
im Sinne von Art. 37 Abs. 1 KV. Somit können die Staatsbürger im Ergebnis geltend
machen, dass jene Menschenrechte aufgrund Art. 37 Abs. 1 KV in den Katalog ihrer
subjektiven öffentlichen Rechte mit Verfassungsrang, d.h. ihrer Grundrechte,
inkorporiert sin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