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Nursing Professional Pride among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 저자명
- 류은진(Eun Jin Ryu)
- 간행물 정보
- 『안전문화연구』제42호, 89~9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5.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자부심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간호전문직자부심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2025년 3월 10일부터 30일까지 임상경력 1년 이상의 중소병원 간호사 1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자부심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로 확인한 후, 사후검정으로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조직의사소통만족, 긍정심리자본, 간호전문직자부심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고, 간호전문직자부심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자부심은 주관적 건강상태(F= 2.880, p<.001), 근무부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 2.793, p<.001).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의사소통만족(r= 0.343, p<.001)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호전문직자부심은 조직의사소통만족(r= 0.612, p<.001), 긍정심리자본(r= 0.475, p<.001)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자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 63.872, p<.001). 간호전문직자부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긍정심리자본(β= 0.523, p<.001), 조직의사소통만족(β= 0.311, p<.001) 으로 설명력은 39%였다. 결론: 중소병원 간호사의 조직의사소통만족, 긍정심리자본, 간호전문직자부심은 서로 밀접한 상호 연관성을 가지며, 간호실무현장에서 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소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자부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Although hospital nurses work in the same environment and care for the same patients there are variations in terms of nursing performance. Determining nursing professional pride is an important way of providing quality care in clinical settings. This can aid in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nursing professional pride of nurses in medium-sized hospitals as well as in providing basic data to enable increased nursing professional pride. Methods: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examined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professional pride among hospital nurses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ir effects on nursing professional pride.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73 nurses from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G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0 to 31, 2025, using structu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SPSS/WIN 2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 Depending on the overall amount of subjective health status (F = 2.880, p< .001), work unit (F = 2.793, p< .001) the nursing professional pride score varied. Nursing professional pri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r = 0.617, p< .001)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r = 0.473, p< .001). The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ß = 0.315, p< .001)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ß = 0.527, p< .001) were influential factors in the hospital nurses’ nursing professional pride. This model explained 39%. Conclusi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nursing professional pride of hospital nurses. Hospital nurses are encouraged to bolster nursing professional pride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managers should prioritize the strengthening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mong hospital nurses. Furthermo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aimed at enhancing nursing professional prid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령자의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병원간호사의 감성지능, 사회지능,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 노인의 사회적 고립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역기능적 상위인지의 매개효과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 간호업무강도, 직무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 유통기업의 규모에 따른 ESG 커뮤니케이션의 조직심리 메커니즘 연구
- 소방공무원 국가직화에 따른 지방소방청 설치 운영에 관한 연구
- 중소병원간호사의 조직의사소통만족과 긍정심리자본이 간호전문직자부심에 미치는 영향
- 토픽모델링분석을 활용한 장애여성분야의 연구 동향분석 - 2002년~2024년까지 국내 등재학술지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윤리적 동기와 행동의 괴리: 공공봉사동기, 조직동일시, 비윤리적 친조직행동의 관계
- 디지털 리더십과 정치적 현저성이 공무원의 디지털 기술 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술 도입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리더십 스타일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