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로컬창업의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Domestic Local Start-up
- 발행기관
- 한국창업학회
- 저자명
- 김강우(Kangwoo Kim) 김창완(Changon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창업학회지』제20권 제2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로컬창업에 관한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로컬창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로컬창업은 최근 10년 사이에 지역 고유의 문화와 특성을 살린 새로운 가치와 기회 창출의 공간으로 인식되며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키워드 연관성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로컬창업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통해 로컬창업이 지역 경제 활성화, 사회적 가치 창출,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 강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로컬창업이 지역소멸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전략적 도구임을 강조하며, 로컬크리에이터, 청년창업, 사회적경제 등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작용하는 복합적인 구조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로컬창업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년창업 활성화와 창업생태계 구축이 필수적이며, 로컬거버넌스 구축과 로컬콘텐츠 개발을 통해 창의적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지역 문화와 로컬리티를 반영한 로컬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공감과 관계 형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로컬창업의 주요 이슈와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향후 연구에서 다룰 주요 주제와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research trends on local entrepreneurship in South Korea and derives policy and strategic implications for its revitalization. Over the past decade, local entrepreneurship has drawn attention as a means of creating new value by utilizing the uniqu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rough keyword association and network analysis, the study identifies key themes and confirms the growing importance of local entrepreneurship in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social value creation, and cultural identity. It emphasizes that local entrepreneurship serves as a strategic tool to address regional decline and promote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The study explores the interaction of key elements such as local creators, youth entrepreneurship, and the social economy. To address issues like population decline, it highlights the need to foster youth entrepreneurship and build robust local entrepreneurial ecosystems. It also stresse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local governance and developing innovative business models based on local content that reflects regional culture and locality. Building empathy and strong relationships with local residents is identified as essential for effective local content development. Ultimately, this research offers insights into the major issues and directions of local entrepreneurship and provides a valuable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and policy plann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