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hilosophy of Zhuangzi in Yeats’s Late Poetry
- 발행기관
- 한국예이츠학회
- 저자명
- 한학선(Hak-Sun Han)
- 간행물 정보
- 『한국 예이츠 저널』75권, 127~14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예이츠의 후기 시는 삶과 죽음, 예술의 영원성에 대한 깊은 철학적 성찰을 담고 있으며, 특히 동양 철학, 그 중에서도 장자의 사상과 밀접한 연관을 보인다. 장자는 자연의 흐름에 순응하며 삶과 죽음의 경계를 초월하는 무위와 초연함을 강조했는데, 예이츠는 이러한 장자의 철학에서 중요한 영감을 받아 자신의 시적 세계를 확장했고 볼 수 있다. 특히 「비잔티움으로의 항해」(“Sailing to Byzantium”)와 「청금석 부조」(“Lapis Lazuli”)에 이러한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진다. 이 논문은 두 시가 어떻게 장자의 사상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예이츠가 동서양 철학을 통합하여 예술적 초월을 탐구한 방식을 조명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Yeats’s later poetry embodies profound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life, death, and the immortality of art, closely linked to Eastern philosophy, particularly the ideas of Zhuangzi. Zhuangz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ollowing the natural flow, embracing wu wei (non-action) and tranquility while transcending the boundaries of life and death. It seems that Yeats drew significant inspiration from this philosophy, which helped him expand his poetic vision. This influence is particularly evident in “Sailing to Byzantium” and “Lapis Lazuli”. This study analyzes how these two poems reflect Zhuangzi’s philosophy and explore how Yeats integrated Eastern and Western thought to express artistic transcendenc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장자의 사상
Ⅲ. 예이츠의 시에 나타난 장자의 사상
Ⅳ. 나가는 말
Works Cited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이츠 시에 나타나는 아일랜드 독립기의 신화적 재구성
- 아일랜드 전쟁의 역사와 실체: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의 의도적 역사 왜곡
- Fields of Sense Where the Falcon Cannot Hear the Falconer: A New Realist Reading of W.B. Yeats
- Exploring Yeats’s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Life and Death in the Elegies for Robert Gregory
- 마이클 롱리의 기억 시학: 제1차세계대전과 북아일랜드 분쟁
- Bones of Memory: W. B. Yeats’s Legacy of Love in Maylis Besserie’s Scattered Love
- Racial Prejudice and Its Effects: An Analysis of the Select Novels of Ishmael Scott Reed and Omar Tyree
- 예이츠의 후기 시에 담긴 장자의 사상
- Heaney’s Use of Bog Imagery in “The Tollund Man” and Other Poems
- Eco-Spirituality: Hinduism and Theosophy for Environmental Balance
- 「나는 그대의 주」(“Ego Dominus Tuus”)에서 나타난 이상적 자아: 예이츠와 니체의 창조적 투쟁
- 윌리엄 블레이크의 『네 생물』에서 이원론적 대립과 조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Principles, challenges, and prospects in classifying Russian parts of speech
- Semantic taxonomy and nominal coordination in Vietnamese
- Index as a syntactic object: Evidence from Korea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