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령자 주거안정의 사회적 보장: 독일에서 해지통고에 대한 고령 임차인의 거부권
이용수 0
- 영문명
- Soziale Sicherung der Wohnstabilität im Alter: Recht des älteren Mieters auf Widerspruch gegen die Kündigung in Deutschland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법학회
- 저자명
- 권용덕(Yongdeok Kwon)
- 간행물 정보
- 『부동산법학』제29집 제1호, 125~1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고령자의 주거안정 보장을 위한 법정 보호 장치로서 독일의 임대차법과 한국의 주택임대차보호법을 비교·분석하였다. 한국 사회는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고령 임차인의 주거 안정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고령자가 원하는 주거의 한 형태로, 사회학에서는 계속 거주 개념을 들고 있다. 이 개념은고령자가 익숙한 집이나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생활하면서 나이를 들어가는 현상(Aging in Place, AIP)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고령자는 노년에 오랜 기간 정들고 익숙한 집이나 지역에서 최대한오래 사는 것을 희망하였다. 우리나라의 주택임대차보호법은 고령자의 거주 형태를 뒷받침할 수 있는가?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을 인정하지만, 해당 권리는 1회에 한정되며, 임대인의 정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 계약의 갱신이 거부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독일 민법 제574조는 임대인의 해지통고에 대해 임차인이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특히 고령 임차인이 주거 이전으로 인해중대한 어려움을 겪는 경우 이를 보호하는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이 조항은 사회적 조항(Sozialklausel) 으로서, 이 조항이 고령 임차인의 주거 안정을 보장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우리나라의주택임대차보호법과 비교하여 개선 방향을 모색한다. 또한, 초고령 사회로의 전환 속에서 고령자의 ‘익숙한 환경에서의 거주(AIP)’를 보장하는 법적 제도의 필요성을 논의한다. 이를 통해 주택임대차보호법이 보다 포괄적으로 고령 임차인을 보호할 수 있도록 이 법의 개정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In diesem Beitrag werden das deutsche Mietrecht und das Gesetz zum Schutz von Mietern von Wohnraum in Korea(im Folgenden: Wohnraummietschutzgesetz) als gesetzliche Schutzmechanismen zur Sicherung der Wohnstabilität älterer Menschen verglichen und analysiert. In der koreanischen Gesellschaft wird das Problem der Wohnsicherheit älterer Mieter aufgrund der raschen Alterung zu einer wichtigen Herausforderung. In der Soziologie wird das Konzept des “Aging in Place” als eine Wohnform betrachtet, die ältere Menschen bevorzugen. Dieses Konzept beschreibt das Phänomen, dass ältere Menschen in ihrem vertrauten Zuhause oder in ihrer gewohnten Gemeinschaft verbleiben und dort altern. Auch die meisten älteren Menschen in Korea wünschen sich, im Alter möglichst lange in ihrem langjährigen, vertrauten Zuhause oder Wohnviertel zu bleiben. Kann das Wohnraummietschutzgesetz diese Wohnform für ältere Menschen unterstützen? Das Wohnraummietschutzgesetz erkennt zwar das Vertragsverlängerungsrecht des Mieters an, doch ist dieses Recht nur einmalig ausübbar und kann vom Vermieter aus berechtigtem Grund abgelehnt werden. Im Gegensatz dazu regelt § 574 BGB in Deutschland, dass der Mieter gegen eine Kündigung durch den Vermieter einen Widerspruch ausüben kann. Insbesondere bietet diese Regelung Schutzmechanismen für ältere Mieter, die durch einen Wohnungswechsel erhebliche Schwierigkeiten erfahren würden. Diese Vorschrift ist als Sozialklausel ausgestaltet und trägt zur Sicherung der Wohnstabilität älterer Mieter bei. In dieser Analyse wird untersucht, wie diese Vorschrift zur Wohnsicherheit älterer Mieter beiträgt und mit dem Wohnraummietschutzgesetz verglichen, um mögliche Verbesserungen zu erörtern. Darüber hinaus wird die Notwendigkeit eines rechtlichen Schutzmechanismus diskutiert, der in einer alternden Gesellschaft das “Aging in Place” älterer Menschen gewährleistet. Daher wird vorgeschlagen, das Wohnraummietschutzgesetz so zu reformieren, dass es ältere Mieter umfassender schützt.
목차
Ⅰ. 서론
Ⅱ. 고령사회로 진입과 고령자의 계속 거주(AIP, Aging in Place)
Ⅲ. 한국과 독일의 고령 임차인 주거안정 보장
Ⅳ. 결론: 독일 고령 임차인의 거부권의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