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야마대국의 위치와 칠지도 명문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Study on the Location of Yamatai-koku and the Inscriptions on Seven-Branched Sword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한희진(Heejin Han)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5호, 7~66쪽, 전체 6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10,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후한서』와 『삼국지』에 따르면 2-3세기에 일본 큐슈에는 30개의 소국을 다스리는 여왕 비미호(卑彌呼)의 야마대국이 있었다. 『삼국지』에는 야마대국에 이르는 여정이 쓰여있다. 그럼에도 그 위치 비정은 난립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사서와 유물과 지리적 여건을 감안하여 야마대국(邪馬臺國)에 이르는 여정을 비정한다. 가라쯔(唐津)를 말로국, 오키시(小城市)를 이도국, 사가시(佐賀市)를 노국 치코구강(築後川) 근처를 불미국, 구마모토(熊本)를 투마국, 미야코노조시(都城)를 야마대국(邪馬臺國)으로 비정한다.
야마대국(邪馬臺國)의 비정을 위해서는 역사서와 유물 등 사료를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일본서기』의 진구황후기, 『송서』의 왜왕에 대한 기록, 백제의 금동관과 칠지도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백제와 왜의 관계, 백제의 왜 진출 시기, 야마대국(邪馬臺國)과 야마토정권과의 관계를 추정했다.
칠지도 명문의 병오정양을 해석하여 칠지도 제작시기를 369년으로 추정하였고, 이면의 명문에 따라 백제 왕세자가 왜왕에 임명되었음을 알게 된다. 백제 금동관을 통해서 에다후나야마고분(江田船山古墳)의 묘주는 백제의 후왕임을 알수 있다. 이곳에서 발굴된 철검과 이나리야마고분(稻荷山古墳)의 철검의 명문을 통해서 에다후나야마고분(江田船山古墳)의 묘주와 이나리야마고분(稻荷山古墳)의 묘주는 사귀궁에 있는 혁가다지로대왕(獲加多支鹵大王)을 모셨음을 알수 있다. 이를 통해 혁가다지로대왕(獲加多支鹵大王)은 동경지역에서 큐슈지역에 이르는 여러나라를 다스린 왕으로 대왕이라 했다. 이는 백제의 좌현왕이나 우현왕으로 여겨진다. 이는 『송서』의 왜왕 무의 상표문에 그의 조상대에 왜지역의 216국을 정벌했다는 기록에 따라 왜 5왕 중에 하나로 추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야마대국(邪馬臺國)과 야마토정권은 그 성격이 다른 별개의 나라이고, 서로 다른 곳에 위치하였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Book of Later Han and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in the 2nd and 3rd centuries, there was a Yamatai-koku ruled by Queen Himiko in Kyushu, Japan, which ruled 30 small countries. The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describes the journey to Yamatai-koku.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t accounts of its location. This researcher estimates the journey to Yamatai-koku by considering historical records, artifacts, and geographical conditions. Karatsu is estimated as Malo-koku, Oki-city as Ido-koku, Saga-city as No-koku, Chicogu-river near as Bulmi-koku, Kumamoto as Tuma-koku, and Miyakonojo-city as Yamatai-koku.
영문 초록
In order to estimate the location of Yamatai-koku, it is necessary to review historical records and artifacts. To this end, we will examine the Annals of Empress Jingu in the Nihon Shoki, the records of the King of Japan in the Songseo, and the gilt-bronze crown and Seven-Branched Sword of Baekje. Through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Japan, the period of Baekje's advance into Japa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amato Kingdom and the Yamato regime were estimated.
By interpreting the inscription of the Seven-Branched Sword, the date of production of the Seven-Branched Sword was estimated to be 369, and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on the Inner Inside, it was found that the Baekje crown prince was appointed as the king of Japan. Through the Baekje gilt- bronze crown, it is known that the tomb owner of the Edafunayama Tomb is the successor of Baekje. Through the inscription on the iron sword excavated here and the iron sword of the Inariyama Tomb, it is known that the tomb owner of the Funayama Tomb and the tomb owner of the Inariyama Tomb enshrined King Hyukga Dajiro in Sagye Palace. Through this, King Hyukga Dajiro was called the great king as he ruled several countries from the Tokyo region to the Kyushu region. He is believed to be the Left or Right King of Baekje. Based on the record in the Songseo's Japan King Mu's letter that he conquered 216 countries in the Japan region during his ancestors' time, it can be assumed that he was one of the five kings of Japan. As above, we can see that Yamatai-koku and Yamato regime were separate countri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were located in different places.
목차
1. 서문
2. 야마대국의 연구사
3. 사료에 따른 야마대국의 위치 비정
4. 야마대국의 기내설 등에 대한 비판
5. 백제의 금동관과 왜 5왕에 대하여
6. 칠지도 명문해석과 야마대국
7.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와 융합 제25호 목차
- 초기 한역 불경과 곽상의 『장자주』에 보이는 ‘자연’에 관한 고찰
- 『자평진전』에 나오는 유정(有情)·무정(無情)의 통변(通變)에 따른 통변(通辯) 적용 연구
- 12단계 영웅의 여정을 통해 본 드라마 <황진이>의 주제 구현 전략 - 보글러의 이론을 중심으로
- 「화식열전(貨殖列傳)」에 나타난 사마천의 상업관(商業觀)
- 외국인관광객 마케팅을 위한 전통공예 관광기념품 속성 만족과 전반적 만족 및 재구매 영향관계 연구
- 야마대국의 위치와 칠지도 명문 연구
- 시대별 비보풍수의 활용과 논리의 변화
- 천지의 오행 중 토행(土行)의 명리학적 의미 고찰
- 숙박업 디지털 어메니티가 지각된 유용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역사와 융합 제25호 목차
- 초기 한역 불경과 곽상의 『장자주』에 보이는 ‘자연’에 관한 고찰
- 『자평진전』에 나오는 유정(有情)·무정(無情)의 통변(通變)에 따른 통변(通辯) 적용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