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ttention UNet을 활용한 유방 초음파 영상 병변 분할: IoU, Dice, Accuracy, F1 Score 기반 개별 모델 평가
이용수 8
- 영문명
- Lesion Segmentation in Breast Ultrasound Using Attention UNet: Evaluation of Individual Models Based on IoU, Dice, Accuracy, and F1 Score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신민준(Min-Jun Shin) 안현(Hyun An)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제48권 제2호, 179~18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Attention Mechanism이 적용된 UNet 모델을 활용하여 유방 초음파 영상에서 병변 분할 성능을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IoU를 주요 성능 지표로 활용하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IoU뿐만 아니라 Dice Coefficient, Accuracy, F1 Score를 기반으로 한 개별 모델을 구축하여 성능을 종합적으로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IoU 및 Dice Coefficient 기반 모델이 가장 높은 분할 성능을 보였으며, Accuracy 기반 모델은 픽셀 단위의 정확도는 높았지만 병변 경 계를 명확하게 구별하는 능력이 부족하였다. F1 Score 기반 모델은 높은 Recall을 기록하여 False Negative를 줄이는 데 효과적 이었으나, Precision이 낮아 False Positive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Attention Mechanism이 적 용된 UNet 모델이 기존 IoU 기반 방법보다 병변 분할 성능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이며, IoU 및 Dice Coefficient 기반 학습이 병변 분할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lesion segmentation performance in breast ultrasound images using a UNet model enhanced with an Attention Mechanism. Previous studies primarily used IoU as the key performance metric to evaluate model performance; however,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individual models based not only on IoU from previous studies but also on Dice Coefficient, Accuracy, and F1 Score to comprehensively compare their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models based on IoU and Dice Coefficient achieved the highest segmentation performance, while the Accuracy-based model exhibited high pixel-wise accuracy but lacked the ability to clearly distinguish lesion boundaries. The F1 Score-based model demonstrated higher Recall, making it effective in reducing False Negatives, but its lower Precision led to an increased likelihood of False Positives.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UNet model enhanced with an Attention Mechanism outperforms conventional IoU-based methods in lesion segmentation performance. Furthermore, IoU and Dice Coefficient-based training 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maximizing lesion segmentation performance.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