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유리더십이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이용수  74

영문명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Change-Oriented Innovative Behavior and Creativity: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임대성(Daesung Lim)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32권 제1호, 121~14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들어 21세기에서 제시하는 핵심 역량으로 주도성과 자율성이 손꼽히고 있다. 2022학년도에 개정된 초등 교육과정에서도 주도적인 사람을 핵심 역량으로 손꼽는 것을 보아도 앞으로의 세상을 살아가는데 있어 주도성이 얼마나 중요한 역량인지를 느낄 수 있다. 이에 발맞추어 다양한 경영조직에서도 조직구성원의 주도성을 중요하시고 있다. 이러한 경영 환경에서 대두된 것이 분산된 리더의 개념을 제시하는 공유리더십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루어진 공유리더십에 관한 많은 연구는 그 수가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더의 공유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조직구성원의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공유리더십은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과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를 통해 조직은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확실한 미래를 안정적으로 대비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실증분석 대상으로는 대한민국을 소재로 명확한 리더가 존재하는 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리더의 공유리더십은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과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유리더십은 긍정심리자본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공유리더십과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창의성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대를 살아가는 기업의 생존에 있어 공유리더십의 가치를 확인하게 되었으며,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입증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경영 지식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조직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리더십 실현 시사점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leadership and autonomy have been cited as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1st century. Even by looking at the leading person as a core competency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revised in 2022, you can see how important the initiative is in living in the future. In line with this, the leadership of organizational members is also important in various management organizations. What has emerged in this management environment is shared leadership that presents the concept of a distributed leader. However, many studies on shared leadership conducted to date are somewhat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leadership sharing on the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reativity of organizational members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shared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reativity, an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organization can not only maximize productivity, but also stably prepare for an uncertain future, and efficiently produce results. The subjec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tudy were members of companies with clear leaders based in Korea,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m.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ader's shared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reativity. Second, shared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mediate shared leadership and chang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reativity. This study confirmed the value of shared leadership in the survival of companies living in the modern era and proved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rough this, we propose implications for realizing leadership to expand the scope of existing management knowledge and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organiz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대성(Daesung Lim). (2025).공유리더십이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인적자원관리연구, 32 (1), 121-143

MLA

임대성(Daesung Lim). "공유리더십이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인적자원관리연구, 32.1(2025): 121-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