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치와 행동: 현대 한국 직장인의 가치와 조직 행동(성장, 혁신, 이직의도)과의 관련성

이용수  12

영문명
Values and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Values and Behavior Among Modern Korean Employe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Korean employees' Values and Organizational Behaviors (Growth, Innovation, and Turnover Intention)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이중학(Joong-hak Lee) 이종민(Jong Min Lee)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32권 제1호, 43~6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직장인의 가치 지향성이 조직 내 행동 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포용과 심리적 안전감과 같은 조직 상황 요인이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한국 직장인 8.5천명 데이터로 실증 분석하였다. 전통적으로 한국 직장인은 유교적 관계 중심성과 집단주의적 가치에서 비롯된 충성, 신뢰, 조화를 중시해왔지만, 급속한 산업화, 세계화, COVID-19 이후의 일·생활 재편, 생성형 AI 기술 도입 등의 환경 변화 속에서 가치체계가 동적으로 재편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치 변동성에 주목하여, 12가지 가치(예: 일에 대한 자부심, 높은 임금, 복지, 안정성, 성취감, 지식/성장, 봉사 등)를 선정하고, 각 가치가 성장지향성, 혁신지향성,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나아가 포용과 심리적 안전감이 가치-행동 관계를 어떻게 강화 또는 약화시키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지식/성장, 성취감, 안정성, 봉사와 같이 발전 지향적 가치 추구는 성장, 혁신, 직무만족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높은 임금, 복지, 몸과 여유 등 물질·안정 지향 가치는 성장 및 혁신 의지 약화, 이직의도 상승과 연관되었다. 또한 포용과 심리적 안전감은 가치-행동 관계를 특정 방향으로 조정하여, 일부 가치는 포용적 풍토나 심리적 안전감이 높은 환경에서 더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거나 부정적 효과를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에 따라 변하는 주요 한국 직장인의 가치와 행동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이론 및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Korean employees’ value orientations influence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ow inclusiveness and psychological safety moderate these relationships, using data from 8,500 employees. Traditionally, Korean employees emphasized loyalty, trust, and harmony rooted in Confucian collectivist values. However, rapid industrialization, globalization, post-COVID-19 work-life restructuring, and generative AI adoption have dynamically reshaped these values. Focusing on this evolution, the study analyzes 12 key values (e.g., pride in work, high wages, welfare, stability, achievement, knowledge/growth, and service) and their effects on growth orientation, innovati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t also explores how inclusiveness and psychological safety moderate these relationships. The results show that growth-oriented values (e.g., knowledge/growth, achievement, stability, and service) enhance growth, innovation, and satisfaction while reducing turnover intention. In contrast, material-oriented values (e.g., high wages, welfare, physical comfort) are linked to lower growth and innovation motivation and higher turnover inten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environments in shaping how employee values translate into behaviors, offering valuable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s for managing evolving workplace dynamics.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중학(Joong-hak Lee),이종민(Jong Min Lee). (2025).가치와 행동: 현대 한국 직장인의 가치와 조직 행동(성장, 혁신, 이직의도)과의 관련성. 인적자원관리연구, 32 (1), 43-64

MLA

이중학(Joong-hak Lee),이종민(Jong Min Lee). "가치와 행동: 현대 한국 직장인의 가치와 조직 행동(성장, 혁신, 이직의도)과의 관련성." 인적자원관리연구, 32.1(2025): 43-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