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산화 단층촬영 시 다층 차폐체를 사용한 선량 감소와 화질 개선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연구

이용수  7

영문명
Feasibility Study on Dose Reduction and Image Quality Using Multilayer Shielding in CT
발행기관
대한CT영상기술학회
저자명
김상헌(Sang-Hun Kim) 성동찬(Dong-Chan Sung) 주영철(Young-Cheol Joo) 김완역(Wan-Youk Kim) 손춘봉(Choon-Bong Son) 남윤철(Yoon-Chul Nam)
간행물 정보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제27권 제1호, 109~11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방사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직접 제작한 알루미늄(Aluminium), 가돌리늄(Gadolinium) 조영제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구성된 다중 적층구조 차폐체의 선량 감소 효과와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다층 차폐체는 가도비스트와 알루미늄, 폴리우레탄으로 구성하여 원자번호가 높은 순에서 낮은 순으로 적층하였다. 가도비스트 층은 100% 원액, 멸균 증류수를 희석한 75%, 50%, 25%를 사용하였으며 알루미늄은 5 ㎜와 3 ㎜, 폴리우레탄 층은 두께 10 ㎜로 자체 제작하였다. 표면 선량 감소 효과 및 유용성 평가를 위해 사용된 재료 간 비교하였고 다층 차폐체와 대조군으로 비스무스 차폐체를 비교하였다. 알루미늄 3 ㎜위에 가돌리늄 조영제 100%, 희석된 조영제 75%, 50%, 25%를 적층한 경우 각각 54.55%, 53.06%, 50.43%, 43.59%의 선량 감소 효과가 있었다. 알루미늄 5 ㎜위에 가돌리늄 조영제 100%, 희석된 조영제 75%, 50%, 25%를 적층한 경우에는 62.02%, 61.13%, 56.44%, 53.33%의 선량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비스무스의 경우 48.52%의 선량 감소 효과가 있었다. SNR, CNR, 균일도의 경우 차폐체를 사용하지 않은 영상이 가장 우수했으며 알루미늄 두께가 얇을수록, 가둘리늄 조영제의 농도가 낮을수록 SNR, CNR, 균일도가 우수하였다. 가돌리늄 조영제, 알루미늄, 폴리우레탄을 사용해 적절한 농도와 두께로 만든 다층 차폐체는 비스무스에 비해 높은 표면 선량 감소와 양질의 영상 획득이 가능하며 이는 향후 새로운 차폐체로써 환자의 표면 선량 감소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employing multilayered structural shields comprising aluminum, gadolinium-based contrast agents, and polyurethane, a shielding material was developed using a three-layer structure of Gadovist, aluminum, and polyurethane arranged in order from high to low atomic number. For comparative evaluation, bismuth shielding was used. The dose reductions achieved with a 3 mm aluminum layer and Gadovist concentrations of 100%, 75%, 50%, and 25% were 54.55%, 53.06%, 50.43%, and 43.59%, respectively. When using a 5 mm aluminum layer with the same Gadovist concentrations, the dose reductions were 62.02%, 61.13%, 56.44%, and 53.33%, respectively. In comparison, bismuth shielding resulted in a 48.52% dose reduction. Lower shielding thickness and contrast agent concentration yielded better image quality in terms of signal-to-noise ratio (SNR), contrast-to-noise ratio (CNR), and image uniformity. Using a multilayered shield with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gadolinium contrast agent concentration and aluminum thickness can achieve effective dose reduction while maintaining or improving image qualit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헌(Sang-Hun Kim),성동찬(Dong-Chan Sung),주영철(Young-Cheol Joo),김완역(Wan-Youk Kim),손춘봉(Choon-Bong Son),남윤철(Yoon-Chul Nam). (2025).전산화 단층촬영 시 다층 차폐체를 사용한 선량 감소와 화질 개선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연구.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27 (1), 109-118

MLA

김상헌(Sang-Hun Kim),성동찬(Dong-Chan Sung),주영철(Young-Cheol Joo),김완역(Wan-Youk Kim),손춘봉(Choon-Bong Son),남윤철(Yoon-Chul Nam). "전산화 단층촬영 시 다층 차폐체를 사용한 선량 감소와 화질 개선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연구."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27.1(2025): 109-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