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선택 과목 성취기준 분석: 차별성과 중복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63
- 영문명
- An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English elective course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distinctiveness and overlap
- 발행기관
-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저자명
- 천혁진(Hyeok-Jin Cheon)
- 간행물 정보
- 『영어어문교육』제31권 제1호, 103~13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distinctivenes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mong English elective courses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ts aim was to examine whether the achievement standards can guarantee students’ right to choose subjects in alignment with the purpos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three categories of elective courses were analyzed: general (English I, English II, English Reading and Writing), career (English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dvanced English, Reading British and American Literature, Advanced English Reading and Writing), and convergence electives (Practical English Conversation, Media English, World Culture and English). The findings revealed considerable overlap in achievement standards among general elective courses in both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domains. Career elective courses showed varying degrees of distinctiveness across subjects: While the two advanced courses demonstrated high overlap with general electives, English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nd Reading British and American Literature contained more distinctive achievement standards. Among convergence electives, Media English and World Culture and English exhibited distinctly different achievement standards from other electives, though Practical English Conversation showed considerable overlap in the comprehension domain. The study suggests introducing more distinctive achievement standards and developing systematic support for course implementation to ensure meaningful student course selection.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교육과정 선택 과목과 성취기준
III. 연구 방법
IV. 선택 과목 성취기준 비교 분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uilding an Automated Scoring System for EFL Learners’ Paraphrases via a Customized GPT
- 영어 문법과 어휘가 영어 읽기 및 쓰기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 조사: 중·고등학생 비교
-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선택 과목 성취기준 분석: 차별성과 중복성을 중심으로
- 교양영어의 과정 중심 글쓰기에서 교수자·동료·자기 피드백 유형에 대한 학습자 인식과 태도 연구
- 영어어문교육 제31권 제1호 목차
- A Systematic Review of the Impact of VR Technology on Higher Education Learners’ English Speaking Anxiety: Following PRISMA Guideline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