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성장애 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 2014년~2023년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160
- 영문명
- A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ased o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Special Education-related Academic Journals in Korea from 2014 to 2023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경(Eun-Kyung Kim) 안미선(Mi-Seon An) 김선희(Sun-Hee Kim)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9권 제4호, 315~354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에 발표된 자폐성장애(이하 ASD) 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2014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연구 목적에 따른 포함 및 제외 기준에 근거하여 687편을 선정하고 연구 주제, 유형, 대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대상 논문 중 중재 연구에 해당하는 251편에 대해 구체적인 중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분석대상 연구에서 다룬 주요 연구 주제는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인지 학습 교수 전략 및 개입, 도전적 행동 감소 전략 및 개입에 관한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유형별로는 중재 연구, 문헌 연구, 조사 연구 순으로 나타났고 연구 대상은 ASD 아동 및 청소년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중재 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결과, 1명 또는 3명을 대상으로 하고 남자를 대상으로 하며 분리환경에서 시행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중재 대상의 장애 정도는 논문에서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단문 수준의 언어를 사용하는 대상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중재자는 연구자가 중재를 시행하고 중재자의 역할과 전문성에 대한 언급이 대체로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장소는 치료실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11~15회기의 중재를 시행한 연구가 많았다. 실험설계로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가 가장 많이 적용되었고 중재 충실도, 사회적 타당도, 관찰자간 신뢰도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제시되었다. 중재 성과는 사회성 기술을 다룬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도전적 행동, 의사소통, 학업 수행 순으로 나타났다. 중재 전략으로는 강화, 모델링, 촉구, 시각적 지원이 주로 활용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ASD 교육 연구의 시사점과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in the education of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published in domestic special education journals over the past decade. A total of 687 studie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4 and December 2023 were selected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ligned with the study objectives. The selected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opics, types, and target populations. Additionally, a detailed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tervention methods in 251 studies categorized as intervention research.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imary research topics were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cognitive learn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and challenging behavior reduction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in that order. Regarding research types, intervention studies were most common, followed by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 studies. The majority of studies focused o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SD,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elementary school-aged students. The detailed 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indicated that most studies targeted one or three participants, predominantly males, and were conducted in segregated settings. Although the severity of disabilities was often unreported, studies focusing on participants with severe disabilities or those with minimal verbal language abilities were prevalent. The intervention implementers were primarily researchers, with frequent mention of their roles and expertise. Intervention settings were most commonly therapy rooms, and the number of intervention sessions typically ranged from 11 to 15. Among experimental designs, multiple baseline designs across participants were the most frequently employed. Most studies reported intervention fidelity, social validity,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In terms of intervention outcomes, the most commonly addressed area was social skills, followed by challenging behaviors, communic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Intervention strategies predominantly involved reinforcement, modeling, prompting, and visual suppor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ASD education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CP를 적용한 ITP 운영을 위한 특수학교 중학교 ITP 지원팀의 협력적 실행
-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초등학생의 연산 능력 향상을 위한 맞춤형 수업 적용 사례
- 장애인 평생교육의 인식과 이해에 관한 탐색 : 중등특수교사를 대상으로
- 중등 특수학교 교사가 경험한 학생의 물리적 폭력에 의한 교육활동 침해 연구
- 특수교사의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인식 및 배경 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
-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지역사회와의 생태학적 협력체계 영향 변인 탐색
-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대상 비약물 수면중재 국외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 중학교 특수학급에서 학생 참여형 수업을 적용한 ‘진로와 직업’ 교과 수업 실행연구
- 장애대학생의 대학몰입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 및 예측요인 탐색
- 뇌성(피질)시각장애학생 특수교육 지원에 관한 특수교사의 지도 경험과 개선 요구 탐색
- 학년차원의 다층적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통합학급 6학년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진로탄력성 및 전환목표달성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학연구 제59권 제4호 목차
- 학습장애 진단에서 양성 예측도와 출현율의 중요성 탐색
- 자폐성장애 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 2014년~2023년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 유아특수교사와 장애영유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개별화교육계획(IEP) 연구 질적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