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학생 행동중재 지원 사업을 운영한 담당 장학사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이용수 39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chool Supervisors in Charge of a Behavior Intervention Support Projects for Students with Disabilties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진미영(Miyoung Jin) 최미진(Mijin Choi) 최진경(Jinkyung Choi) 박지연(Jiyeon Park)
- 간행물 정보
-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Vol.34, No.1, 169~19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가 정책을 반영한 장애학생 행동중재 지원 사업 운영 현황은 어떠하며, 그 과정에서 장학사가 경험하는 구체적인 인식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실제 행동중재 지원 사업을 운영해 본 경험이 있는 9명의 장학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면담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행동중재 지원 사업 운영의 성과와 보람’, ‘행동중재 지원 사업 운영의 한계와 문제점’, ‘행동중재 지원 사업의 내실화 방안’이라는 3개의 대주제와 8개의 하위주제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학생 행동중재 지원 사업을 발전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behavior intervention support projec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explore the specific perceptions of school supervisors during the process. To achieve thi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school supervisors who have experience operating behavior intervention support tasks, and the collected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three main themes and eight sub-themes were derived: ‘Achievements and Rewards of Operating Behavior Intervention Support Tasks’, ‘Limitations and Challenges of Operating Behavior Intervention Support Tasks’,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Behavior Intervention Support Project’. F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recommendations were provided for the progressive improvement of behavior intervention support projec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생태 시민성 관련 서술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과 핵심역량의 이론-실천 정합성: 고등학교 영어 교사 인식 분석
- 인지편향에 대한 도덕적 메타인지의 도덕교육적 활용 방안
- 아동문학 활용 초등 영어수업이 세계시민성 및 영어 리터러시 함양에 미치는 영향
- 과학-기술-사회와 관련된 고등학생의 견해에 대한 예비화학교사의 지식과 교육적 요구
- 장애학생 행동중재 지원 사업을 운영한 담당 장학사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 초등학생 데이터 리터러시의 성차: 개인과 수업 변인의 영향력 차이
- 대학 진학을 위한 학력 준비도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 명시적 화용 교수가 중학생 영어 학습자의 요청 이메일 작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