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linical Adaptation Processes of Newly Graduated Registered Dental Hygienists: A Qualitative Study
- 발행기관
- 한국구강보건과학회
- 저자명
- 최은미(Eun-Mi Choi) 박수경(Su-Ky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제13권 제1호, 32~44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clinical adaptation processes of novice dental hygienists, identified the key challenges they face, and proposed strategies for successful integration into clinical practice.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12 novice dental hygienists with 12-18 months of clinical experience in dental hospitals or clinic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patterns in their adaptation process, challenges, and coping strategies.
Results: The adaptation process was categorized into five stages: (1) initial entry: anxiety and tension, (2) early trial and error: learning and frustration, (3) beginning of adaptation: relationship building and competency enhancement, (4) growth and internal stability: work proficiency, and (5) professional growth and goal reassessment: self-efficacy. Key challenges included discrepancies between theoretical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fear of mistakes, workplace relationship difficulties, and excessive workload. Successful adaptation was facilitated through continuous learning, mentorship, teamwork, and structured job-training programs.
Conclusions: Structured training, mentoring, and phased adaptation programs (e.g., at three, six, and ten months) are essential for supporting novice dental hygienists. Strengthening the link between academic training and clinical practice can improve adaptation and reduce turnover rates. Future research should assess the effectiveness of structured adaptation programs and explore long-term professional development strategie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치주질환자를 위한 구강관리 프로그램의 구강건강 증상 개선 및 만족도
- 서울 농수산 시장관리 근로자들의 불안과 우울이 구강건조 증상에 미치는 영향
- 치위생학과 학생의 학습몰입, 스마트폰 중독이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 치과위생사의 조직침묵, 팀응집력, 직무스트레스가 직장내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제13권 제1호 목차
- 기초치위생학 교과목 용어 표준화를 위한 연구
- 일부 지역 보육교사의 영유아 구강보건교육 내용별 요구도 및 우선순위 분석
- 치위생학과 학생의 직업 가치관,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신입 치과위생사의 임상 적응 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 한국 노인의 우울증과 관련된 요인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의 시설/병원 이행의향 영향 요인
- 보건·의료계열 종사자의 정신적 웰빙을 저해하는 산업안전 유해요인 분석 -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