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ategies for developing selective p21-activated kinase (PAK) Inhibitors
- 발행기관
- 대한약학회
- 저자명
- 김진훈(Jin Hun Kim) 이수미(Sumi Lee)
- 간행물 정보
- 『약학회지』제69권 제4호(2025년), 328~338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rough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p21-activated kinase (PAK) plays a pivotal role in a broad range of physiological processes related to cellular functions, including cell motility, apoptosis, cytoskeletal reorganization, proliferation, and survival. In this regard, PAK proteins could be explored as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for the treatments of various human diseases, such as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s, neurological disorders, and metabolic disorders. The six PAK isoforms are classified into group I (PAK1, 2, 3) and group II (PAK4, 5, 6) on the basis of their sequence, structural homology, and regulatory mechanism. Notably, PAK1 and PAK4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and recognized as promising drug target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a high therapeutic index with minimal side effects, the development of selective PAK1 or PAK4 inhibitors is essential. Indeed, selective PAK1 inhibitors (e.g. FRAX597 and FRAX1036), and selective PAK4 inhibitors (e.g. CZh-226 and GNE-2861) have been reported. However, some inhibitors have exhibited safety issues in clinical trials, likely due to low target selectivity, and no PAK inhibitors have been approved as therapeutic drugs. In this review, we analyze the differences in inhibitory activity between PAK1 and PAK4 by comparing the binding interactions of each selective PAK inhibitor and propos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selective PAK1 or PAK4 inhibitors.
영문 초록
목차
서 론(Introduction)
본 론(Body)
결 론(Conclusion)
감사의 말씀(Acknowledgment)
Conflict of Interest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약학회지 제69권 제4호(2025년) 목차
- 선택적인 PAK 저해제를 개발하기 위한 전략
- 환자 중심 의료제품 개발의 국제 동향 비교고찰 연구 -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 당뇨병 치료제의 우선판매품목허가 현황 분석 및 전략 수립
- Innovative Technological Emerging Platform: Exploring PROTAC Research and Regulatory Trends
- 바이오의약품 생산용 세포배양배지의 오염관리 방안 연구
- 일본 식민기의 근대 약학교육과 여성
- Comparative Analysis of Real-World Data Utilization in Regulatory Decision-Making: Current Status in South Korea compared to FDA and EMA
- 온라인 검색 트렌드 분석과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식욕억제제 데이터 분석
- 습식 과립법을 이용한 정제 제작 시 부형제 조합 및 혼합비율이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 만성 신장병 환자에서 금기 비스테로이드성항염증제의 처방 현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