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재와 망각의 시학 비교 연구 - 김수영과 히니 시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Poetics of Absence and Oblivion: Focused on Sooyoung Kim and Seamus Heaney
발행기관
한국예이츠학회
저자명
성창규(Chang-gyu Seong)
간행물 정보
『한국 예이츠 저널』49권, 233~25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학의 언어는 인간 본질과 관련하여 근본적으로 죽음을 내포하고 있다. 이 관점은 문학텍스트를 단순 평가하기보다 부재, 죽음, 소멸, 망각 등의 문학적 의미가 생성되는 공간이자 가능성으로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이 글은 『문학의 공간』으로 대표되는 모리스 블랑쇼의 시학과 문학론을 토대로 셰이머스 히니 시와 김수영의 시를 비교 분석하고 있다. 히니의 경우, 아일랜드의 역사성과 토착성을 잊지 않으면서도 기존의 이데올로기의 틀을 벗어나려는 상상적 공간으로 아일랜드를 파악하고 시적 자아의 경험과 함께 녹여내고 새로운 공간을 빚어내고 있다. 김수영의 경우, 시적 글쓰기에서 침묵 또는 죽음의 의미를 끊임없이 언어적이고 문학적으로 재구성하며 블랑쇼의 이론과 흐름을 같이 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language at the apex of consciousness basically and structurally looks at death, through the whole of human existence. The perspective can converge into “the space of absence,” of which the language arouses the absence with poetic expressions. The poetic language, hence, calls its essence forth in the way of making us experience the absence ourselves. This study considers poems of Seamus Heaney and Sooyoung Kim, based on a literary criticism which regards poetic locale by Maurice Blanchot as the place of absence or oblivion. Both poets embody the concept of absence with poetic imagery and their articulations. The dialogues with subjects occurring in the space of absence become filled with unidentified “anonymous languag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창규(Chang-gyu Seong). (2016).부재와 망각의 시학 비교 연구 - 김수영과 히니 시를 중심으로. 한국 예이츠 저널, (), 233-253

MLA

성창규(Chang-gyu Seong). "부재와 망각의 시학 비교 연구 - 김수영과 히니 시를 중심으로." 한국 예이츠 저널, (2016): 233-2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