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W. B. 예이츠와 일본 정신문화의 대위법 - 노(能)와 선(禪)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Counterpoint of W. B. Yeats’s to Japanese Spiritual Thought
발행기관
한국예이츠학회
저자명
이홍필(Hong-Pil Lee)
간행물 정보
『한국 예이츠 저널』49권, 203~23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W. B. 예이츠가 만난 일본 문화와 그가 수용한 일본의 노와 선불교 사상의 관점에서 그의 후기 시를 분석하는 데 그 일차적 목적이 있다. 예이츠는 일찍부터 신비주의적이고 심령적인 정신세계에 관심을 가졌었다. 가령, 그가 스웨덴의 신비주의자 스베덴보리에 매료되었던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가 가능하다. 또 일본 문화에 관심을 가졌던 것은 페넬로사와 파운드의 번역 등을 통해서 이루어졌고, 이러한 체험은 그의 창작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예이츠가 추구하는 화합과 일치, 선적 경지에 대한 섬밀한 묘사는 일본 문화에서 취합한 것이라는 것을 추론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특히 그가 매료되었던 일본의 노와 선불교는 예이츠가 추구했던 정신세계의 구축에 상당 부분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essay seeks to examine in W. B. Yeats’s later poetry the elements of Zen Buddhism and Noh, the products of Japanese spiritual thought. Japonism was popular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e London literary circle. Ernest Fenellosa and Ezra Pound introduced Japanese religio-spiritual thoughts and literary genres to England. Yeats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manifestations of the indigenous religiosity in Japan such as Noh and Zen Buddhism, some elements of which came close to what Yeats was after. His spiritual-literary propensity must have led him to accept and adopt those very imported spiritual products. It is not that difficult to read in Yeats’s later poetry a mixture of western mystical thought and Japanese cultural aspect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예이츠와 일본 문화
Ⅲ. W. B. 예이츠의 시와 선(禪)
Ⅳ.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홍필(Hong-Pil Lee). (2016).W. B. 예이츠와 일본 정신문화의 대위법 - 노(能)와 선(禪)을 중심으로. 한국 예이츠 저널, (), 203-231

MLA

이홍필(Hong-Pil Lee). "W. B. 예이츠와 일본 정신문화의 대위법 - 노(能)와 선(禪)을 중심으로." 한국 예이츠 저널, (2016): 203-2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