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재우대정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합리적 조직문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104
- 영문명
- The Effects of Talent Preferential Polic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Rational Culture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허아정(A-Jung Heo) 유다빈(Da-Bin Yoo) 함상훈(Sang-Hun Ham)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第40卷 第1號, 103~12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 조직에서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 중 하나인 인재우대정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인재우대정책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조직몰입에 미치는 간접효과와 이 관계에서 합리적 조직문화가 수행하는 조절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2022년 인적자본기업패널(HCCP) 데이터를 활용하여 471개 기업과 9,512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인재우대정책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은 인재우대정책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셋째, 합리적 조직문화는 인재우대정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를 강화하는 중요한 조절변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는 공정성과 투명성을 중시하는 합리적 조직문화가 조직 내 신뢰와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며, 인재우대정책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조직이 인재우대정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고,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건강한 조직문화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exploring the impact of Talent-Preferential Policies (TPP), a key strategy for attracting and retaining talent in contemporary organizations, on work engagement. Specifically, it aims to analyze the indirect effects of TPP on work engagement through job satisfaction as a mediator, and the moderating role of rational culture in this relationship. To achieve this, the study uses the 2022 data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provided by the Korea Vocational Competency Research Institute, analyzing 471 companies and 9,512 employe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first, TPP has a positive impact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work engagement. Second,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PP and work engagement. Third, rational culture moderates the effect of TPP on job satisfaction and strengthens the mediated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work engagement. This suggests that a fair and transparent rational culture enhances trust and interactions within the organization, thereby maximizing the positive effects of TPP.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for organizations to implement TPP effectively and build a rational and healthy organizational culture to enhance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work engag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론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유리더십이 혁신행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전략지향성과 심리적 기제를 중심으로
- LMX Differentiation through the Lens of Categorization Elaboration Model: The Interplay between Informational Justice Climate and Team Informational Elaboration
- 지역별 정부연구개발 투자 효율성 분석: 특허 등록 및 사업화 성과를 중심으로
- 한국의 박사학위자 임금격차: 성별 및 고용형태별 격차를 중심으로
- 인재우대정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합리적 조직문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 중소기업의 네트워크에서 관계행동, 공유가치 및 제품혁신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중소 및 중견기업을 위한 K-ESG 가이드라인 진단 항목이 경영 활동 지표 및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제조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