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특화형 비자 도입을 통해 본 이민정책의 다층거버넌스 분석 : 경상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19
- 영문명
- A Multi-Level Governance Analysis of Immigration Polic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Region-Specific Visas : Focusing on the Case of Gyeongsangnam-do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김현정(HyunJung KIM) 이기완(Ki-Wa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1호, 533~56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다층거버넌스(MLG) 관점에서 지역특화형 비자 도입을 이민정책의 사례로 분석한다. 특히 본고는 경상남도 사례를 고찰하였다. 한국은 저출산, 고령화, 지방소멸이라는 심각한 인구 위기에 직면하여, 2023년부터 지역특화형 비자 시범사업을 시행하여 인구감소와 지역경제 침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경상남도는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합천군 등 인구감소 지역에서 동 제도를 운영하며 그 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지역특화형 비자 제도는 중앙정부, 광역지자체, 기초지자체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인 다층거버넌스의 대표 사례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가 이 거버넌스 구조 속에서 정책을 어떻게 운영하는지, 정책적 자율성과 행정적 역량에 어떤 한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외국인 인재 유치와 지역 발전을 위한 경상남도의 역할을 평가하며, 정책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책운영에 직접 관여한 행정 담당자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수집하고, 정책 집행 과정에서의 주요 과제와 성공 요인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논문은 지역특화형 비자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을 이루기 위한 정책적 개선 방향과 MLG 체계에서의 협력 방안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introduction of region-specific visas as an immigration policy case through the Multi-Level Governance (MLG) framework, focusing on Gyeongsangnam-do. South Korea faces a demographic crisis of low birth rates, aging, and regional decline. To address these challenges, a pilot program for region-specific visas was launched in 2023. Gyeongsangnam-do has implemented the program in areas like Geochang-gun and Namhae-gun, assessing its impact on population decline and economic revitalization. The program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ulti-level governance, requiring cooperation between central, provincial, and municipal governments. This study analyzes Gyeongsangnam-do’s policy operation, revealing limitations in autonomy and administrative capacit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key officials, the research identifies challenges and proposes strategies to enhance policy effectiveness and collaboration within the MLG framework.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경남의 외국인 거주 현황 및 지역특화형 비자 운영 실태
Ⅳ. 다층거버넌스 관점에서 경상남도 지역특화형 비자 정책운영 및 방향성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국제사회 제9권 제1호 목차
- 지역특화형 비자 도입을 통해 본 이민정책의 다층거버넌스 분석 : 경상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 영국 주도의 세계질서와 미국 주도의 세계질서 비교
- 일개 재건축사업에 의해 이주한 노인의 외상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주환경 포용성의 완충효과
- 초등학교와 연계한 유아 보훈교육을 위한 델파이 연구
- 의사결정나무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예측요인 탐색
-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아동 보호 조례」 비교 연구 : 충청북도 및 6개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자녀 연령대별 아버지-자녀 상호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 아버지 서면 인터뷰를 중심으로
- 제3국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병역 문제 : 정책제언을 중심으로
- 집단미술치료가 발달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기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김정은 시대 북한의 우주개발 특징 및 전망과 우리의 대응 : 김정은 시대 주요 정책추진 특징을 토대로
- 북한이탈주민의 직업 정체성 형성 고찰 : Charmaz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접근
- 북한 개혁개방의 방향 : 국제정치, 주민, 엘리트를 중심으로
- 로힝야의 시민 지위 상실과 국제사회의 대응 : 버마 시민권법과 국제법을 중심으로
- 김정은 시대 조선로동당의 위상 변화에 관한 연구 : 당정치국·중앙군사위원회·군정지도부를 중심으로
- 귀환이주자의 생애사 연구 : 고령 이주1 세대의 초국적 이주 동기와 사회적 함의를 중심으로
- 《관광조선(観光朝鮮)》을 통해 본 조선 관광과 문화의 이동 양상 : 특집 기사와 투고문을 중심으로
- 현대중국어 용기(容器) 방위사 里, 外의 비대칭 현상 분석
- 한국어-인도네시아어 영상자막에서 나타난 음식명 번역 전략 연구 : 넷플릭스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을 대상으로
- 인공지능은 종교적인 형태의 자의식을 지닐 수 있는가
- 메타버스 활용 한국어 수업 모형 개발을 위한 혼합연구
- 중국 “미식별민족”의 발생 및 그 문제화 분석
-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의 부상과 한국의 기업 공공외교
- 역사부정을 위한 ‘당근과 채찍’ : 프랑스-일본 사사카와 재단의 학술연구 재정 지원과 전략적 봉쇄소송 사례 분석
- 인구소멸지역의 재생과 창조계급 형성에 있어 서점의 역할에 대한 연구
- 강원 워케이션에 대한 소셜미디어 인식과 활성화 방안 제언
- 의정부 문화공유공간 ‘사이공간’ 분석 : 제3의 공간의 관점에서
- 반복적 영화관람 경험의 본질과 의미 : 현상학적 연구
- ERRC 모델을 활용한 K-Pop 걸그룹의 차별화 전략 연구 : 힙합 기반 걸그룹 영파씨(YOUNG POSSE)를 중심으로
- 50대 중장년 남성 자영업자의 은퇴 인식에 관한 연구
- 전남교육감 후보의 선거전략과 교육정책 비교 연구
- 2022년 대전광역시교육감 선거에서의 교육정책 분석
- 정년제도 디커플링 해소를 위한 일본 셀프커리어독 제도 연구
- 노인의 지역사회환경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일상 속 성차별 경험이 20대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여성주의 정체성의 조절효과
- 가족의 죽음문화에 대한 강화요인으로서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 마이클 헵의 『사랑하는 사람과 저녁 식탁에서 죽음을 이야기합시다』를 중심으로
- 고객의 무례행동이 고객접점 직원의 서비스지향 OCB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과 표면연기의 매개효과
- 정신장애인이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가 인권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일상생활 제한을 매개하여
- “상생과 복지”의 사상적 연관성에 대한 소고 : 복지제도를 중심으로
- Revisiting the Asset-Building Idea for the Poor : A Policy Analysis of the American Dream Demonstration Program
- 시기심으로 인한 내담자의 부정적 치료반응에 관한 정신분석적 치료 개입에 관한 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광주지역 국회도서관 분관 설립의 타당성 제안 연구
- 청년의 회복탄력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유형 연구 : 청소년의 말하기 방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