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동 석유의 정치적 역할에 대한 재고찰: 중동과 미국 관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28
- 영문명
- Reevaluating the Political Role of Oil in the Middle East: A Focus on Middle East-United States Relations
- 발행기관
- 한국이슬람학회
- 저자명
- 안소연(So Yeon Ahn)
- 간행물 정보
- 『한국이슬람학회논총』제35권 1호, 89~11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냉전 시대부터 현재까지 미국 외교 정책을 형성하는 데 있어 중동 석유가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에너지 안보가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과 같은 중동의 주요 산유국들과 우호적 관계 구축을 비롯하여 지정학적 전략 구축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았다. 자원 저주 이론과 지대 추구 이론 등을 기반으로 석유 자원의 정치 및 경제 역학 관계를 분석하여 석유 자원이 중동 국내외 정치 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1970년대의 오일 쇼크, 걸프전, 9·11 테러 이후의 상황 등 주요 역사적 사건들을 살펴봄으로써 중동 석유 자원 통제라는 명분이 미국의 대중동 정책 구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동 석유 자원의 정치적 의미에 대해 재고찰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role of Middle Eastern oil in shaping U.S. foreign policy from the Cold War era to the present. In particular, it explored how energy security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favorable relations with major oil-producing countries in the Middle East, such as Saudi Arabia and Iran,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geopolitical strategies. Based on theories like the resource curse and rent-seeking, the analysis delved in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dynamics of oil resources and their impact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structures in the Middle East. By reviewing major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oil shocks of the 1970s, the Gulf Wars, and the post-9/11 era, the study analyzed how the justification of controlling Middle Eastern oil resources influenced U.S. Middle East policy.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contributes to reevaluating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Middle Eastern oil resour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분석의 틀: 석유 자원을 둘러싼 정치·경제 간 상호 역학 관계
Ⅲ. 냉전 시대 석유의 중요성 부상: 1940년대 이후
Ⅳ. 석유의 무기화 시대: 1970년대 이후
Ⅴ. 석유 공급 안정에 새로운 위협 등장: 1990년대 이후
Ⅵ. 결론: 미국의 셰일 혁명과 그 이후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튀르키예의 식량안보 위협 요인과 대응전략 연구
- 중동 석유의 정치적 역할에 대한 재고찰: 중동과 미국 관계를 중심으로
- MENA 지역의 식량안보(Food Security) 정책 현황 연구: 인도적 지원-개발-평화 넥서스 접근법을 중심으로
- 기후 변화의 악영향을 극대화하는 요인으로서 국가 능력 취약성: 이라크 남부 지역의 기후 위기와 이주
- AI 번역 엔진 성능 평가 - 한국어 아랍어 의료대화를 중심으로
- 페르시아어 ‘죽음’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분석
- 튀르키예의 한국 드라마콘텐츠 소비 양상 연구
- 현대 우즈베크·위구르어 형성과정에서 볼가 타타르인의 역할 연구: 모음 표기체계를 중심으로
- 동지중해 교류로 본 고대 중동의 이해: 기축시대의 탈레스, 피타고라스, 플라톤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