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예비교사의 동적 기하 과제 설계와 수정: 주목하기와 TPACK의 이론적 네트워킹
이용수 68
- 영문명
- Designing and Revising Dynamic Geometry Tasks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oretical Networking of Noticing and TPACK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구나영(Nayoung Ku)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5권 1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동적 기하 환경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과제를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의 수업을 수행하며, 이후 피드백을 반영하여 과제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목하기의 특징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알지오매스 활용법에 대한 강의를 수강한 5개 조(11명)의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주목하기와 TPACK의 이론적 네트워킹을 통해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연구 결과, 과제 설계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의 TCK와 TPACK에 기반한 주목하기를 확인하였고, 과제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TPACK에 기반한 주목하기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예비교사가 공학 도구를 저작 도구로 가치 있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필요가 있으며, TPK 기반의 주목하기를 할 수 있도록 지원이 요구된다는 점 등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공학 도구 활용 맥락에서의 주목하기를 구체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주목하기와 TPACK 이론 간의 통합적 이해를 제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noticing exhibit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s they design tasks using a dynamic geometry environment, conduct simulated teaching, and revise the tasks by incorporating feedback. The study analyzed cases from five groups (11 participants) who attended lectures on using AlgeoMath. An analytical framework was established through the theoretical networking of noticing and TPACK. The findings revealed that pre-service teachers demonstrated noticing based on TCK and TPACK during the task design process, with TPACK-based noticing having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during task revi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pre-service teachers to develop the ability to effectively use technological tools as authoring tools and the necessity of support to foster TPK-based notic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ield by specifically investigating noticing in the context of using technological tools and proposing the potential for an integrated understanding between noticing and TPACK theor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