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0세 이상 한국인에서 원뿔세포대비감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이용수 0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Cone Contrast Sensitivity in Koreans Aged 60 Years and Older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한얼(Han Eul Lee) 진희승(Hee Seung Chin) 김나래(Na Rae Kim) 정지원(Ji Won Jung)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6,number1, 55~6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1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선천색각이상이 없고 백내장 수술을 예정한 60세 이상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원뿔세포대비감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33명, 33안을 대상으로 ColorDx Cone contrast test HD® (CCT-HD; Konan Medical, Inc., CA, USA)를 시행하여 백내장 수술 전후의 CCT 점수와 백내장 종류별 진행 정도에 따른 CCT 점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인공수정체안에서 CCT 점수와 나이, 최대교정시력, 구역별 망막두께, 황반 중심부 빛수용체외절 길이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백내장 수술 후 단, 중 및 장파장 원뿔세포대비감도 검사(S, M, L-CCT) 평균 점수는 수술 전에 비해 높았다(S-CCT, p=0.010; M-CCT, p=0.001; L-CCT, p=0.028). 수술 전후 CCT 점수 변화를 백내장 종류별 진행 정도로 나눠 비교했을 때, 백내장 등급이 높을수록 CCT 점수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p>0.05). 인공수정체안에서 S-CCT 점수는 나이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7). 최대교정시력과 S, M 및 L-CCT 점수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고 S, M 및 L-CCT 점수는 황반 중심부 빛수용체외절 길이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1).
결론: 60세 이상 고령의 환자들에서 원뿔세포대비감도는 피검사자의 나이, 백내장에 영향을 받으며 시기능 평가의 지표가 될 수 있어 임상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xamine the factors impacting cone contrast sensitivity in Koreans aged > 60 years who are scheduled for cataract surgery and do not have congenital color vision deficiencies.
Methods: The ColorDx Cone contrast test HD® (CCT-HD; Konan Medical, Inc., CA, USA) was administered to 33 Korean individuals (33 eyes) to evaluate CCT scores before and after cataract surgery, as well as changes in CCT scor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ogression by cataract type. Correlations between CCT scores and ag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regional retinal thickness, and length of the photoreceptor outer segment (PROS) at the fovea were analyzed in pseudophakic eyes.
Results: Average scores for short-, medium-, and long-wavelength cone contrast sensitivity tests (S-CCT, M-CCT, and L-CCT, respectively) improved after surgery (p = 0.010, p = 0.001, and p = 0.028, respectively). Comparing CCT score changes before and after surgery by cataract progression, higher cataract grades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CCT score changes, 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In pseudophakic eyes, S-CCT score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p = 0.017).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CCT, M-CCT, and L-CCT scores and BCVA, whereas S-CCT, M-CCT, and L-CCT score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S at the fovea (p < 0.001).
Conclusions: Cone contrast sensitivity in individuals aged > 60 years is influenced by age and cataract status and may serve as a valuable indicator of visual function in clinical research.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시행 방법에 따른 장기적인 예후 비교: 봉합 및 무봉합 고정법
- 마이봄샘기능장애를 동반한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레바미피드 점안액의 임상적 효과
- 비중격만곡 및 비중격교정술 여부가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경과에 미치는 영향
- 망막정맥폐쇄에 동반된 황반부종에서 라니비주맙 바이오시밀러 CKD-701의 단기 결과
- 국내 단일기관에서 진행한 63명의 비증후군성 망막색소변성의 유전자 분석 보고
- 폐쇄각의증에서 시신경 주변과 황반부의 망막 미세혈관구조
- 60세 이상 한국인에서 원뿔세포대비감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 자가귀구슬연골막 및 보존공막을 이용한 양안 이비측 4군데 공막연화증의 동시 수복술
- 두 종류의 항생제내성균에 의한 세균각막염과 안내염 동반 1예
- 재발한 노카르디아 각막궤양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Minimally invasive immediate implantation in the anterior region affected by aggressive periodontitis: two case reports
- Implant fractures to failures – case report series
- Melittin inhibits MPP+-induced HT22 cell death by suppressing Bax activation and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