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반적 해고 공정성 지각과 해고자의 재입사 의도
이용수 74
- 영문명
- Overall Layoff Fairness Perception and Laid-off Workers’ Turnback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레 응우엔 우엔 타오(Le Nguyen Uyen Thao) 이상민(Sang-Min Lee) 이민경(Min Kyoung Lee)
- 간행물 정보
- 『인사조직연구』제33권 제1호, 25~5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코로나19 이후 진행된 대규모 해고는 조직의 해고자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켰으며, 불황
이후 빠른 회복 및 성장을 위해 기업은 해고자에 대한 재채용을 긍정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고자의 퇴사 후 태도 및 행동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본 연구는 전통적 조직공정성이 아닌 해고 당시 형성된 전반적 공정성
지각이 해고자의 재입사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메커니즘을 잔여 정서적 몰입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또한, 조직이 퇴직자 네트워킹 활동을 적극적으로 제공해주는지에 대한 구성원
지각과 구성원 본인의 적극적인 활동 참여가 잔여 정서적 몰입이 재입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다양한 업종에서 해고당한
베트남 해고근로자 23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잔여 정서적 몰입은 전반적 해고
공정성 지각과 재입사 의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잔여 정서적
몰입과 재입사 의도 간 관계에 대한 회사 주도 네트워킹 활동 지각 및 퇴직자 네트워킹
활동 참여도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추가분석 결과
조절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한 분석에서 잔여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반적 해고 공정성 지각의 후행요인으로 해고자의 태도변수인 잔여 정서적
몰입과 행동변수인 재입사 의도를 제시함으로써 해고 공정성 관련 연구에 기여하였다.
또한, 회사 주도 퇴직자 네트워킹 활동 지각 및 퇴직자 네트워킹 활동 참여도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이 두 변수의 효과를 밝힘으로써 퇴직자 네트워킹 활동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였다.
마지막으로 회사 주도 퇴직자 네트워크 활동 및 해고자의 활동 참여도가 해고자의 잔여
정서적 몰입과 재입사 의도를 높일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조직의 해고자 관리에 있어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large-scale layoffs following COVID-19 have shifted organizations' perspectives
on laid-off employees. To facilitate post-recession recovery and
growth, companies are increasingly considering boomerang hiring. However,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laid-off workers’ attitudes and post employment
behaviors is still lack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overall
layoff fairness perception on turnback intention mediated by residual affective
commitment. Additionally, it explores whether company-led alumni outreach
activities and engagement in alumni outreach activities moderate this
relationship. The analysis of 230 Vietnamese laid-off workers indicated that
residual affective commit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all layoff
fairness perception and turnback intention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The post-hoc analysi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dual affective commitment were
found in the analysis with moderator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layoff fairness by suggesting laid-off
workers’ attitudes, such as residual affective commitment, and behaviors, such
as turnback intention as subsequent factors of overall layoff fairness perception.
Furthermore, by distinguishing between company-led alumni outreach activities
and engagement in alumni outreach activities, it expands research on alumni
outreach activities by clarifying the effects of these two variables. Lastly,
it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s by suggesting that company-
led alumni outreach activities and engagement in alumni outreach activities
can enhance residual affective commitment and turnback int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2.1 전반적 해고 공정성 지각과 잔여 정서적 몰입
2.2 잔여 정서적 몰입이 재입사 의도에 미치는 영향
2.3 전반적 해고 공정성 지각과 재입사 의도 간의 관계에서 잔여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2.4 회사 주도 퇴직자 네트워킹 활동 지각의 조절된 매개효과
2.5 퇴직자 네트워킹 활동 참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Ⅲ. 연구방법
3.1 자료 수집 및 표본 특성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3.3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4.1 측정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4.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3 가설 검증
4.4 추가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5.1 연구 요약
5.2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5.3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