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elative Contributions of Vocabulary and Grammar to Korean EFL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이용수 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Yun Cheong Hur Yusun Kang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31 No.4, 27~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Despite the widespread recognition of the prominent contribution of key language subskills, such as grammar and vocabulary knowledge, to reading comprehension, a research consensus on their relative significance has not been reached. Moreover, the extent of the contribution vocabulary depth makes to reading comprehension has received little research attention.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relative potential contribution of vocabulary depth and grammar knowledge to advanced Korean EFL colleg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while controlling for their language proficiency and vocabulary breadth,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56 advanced EFL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tested o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d a range of reading-related subskills including vocabulary breadth, vocabulary depth, grammar, and listening comprehension in English. The findings revealed the unique contribution of vocabulary depth to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beyond the effects of both vocabulary breadth and grammar knowledge when English proficiency was controlled for. The findings further underscore the need for balanced approaches in developing L2 learners’ language skills to enhanc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영문 초록
목차
I. Introduction
II. Literature Review
III. Method
IV. Results
V.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elative Contributions of Vocabulary and Grammar to Korean EFL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 내국인 교사와 원어민보조교사와의 초등 영어 협동수업과 영어 학습 불안
- 중국인 학습자의 오류 분석: 한국어 /ㄴ/ 종성 환경에서의 연음 동일 자음 첨가
- 한국어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TPACK(테크놀로지 수업 전문성)과의 관계 분석 연구
- Effects of Using a GPT-based Application for Building EFL Students’ Question-asking Skills
- A Study on Korean University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Unscripted vs. Scripted English Texts
- 에듀테크 이해 및 활용에 관한 초등영어교사의 요구 분석: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5~6학년군 학생 학습 한국어 지도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