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Symbolic Representations Used in Mathematics Textbooks and Input Methods of Technological Tools: Focusing on Angles, Arcs, and Sectors
- 발행기관
- 수학교육철학연구회
- 저자명
- 양성현(Seonghyun Yang)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철학연구』6권 3호, 203~21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수학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을 분석한 결과 학교급에 따라 기호 표현이 상이한 경우가 존재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일 학교급 내에서도 교과서에 따라 기호 표현이 상이한 경우가 존재하였다. 또한 각, 호, 부채꼴과 같은 수학적 대상에 대한 교과서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 사이에 차이점을 발견하였다. 교과서의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이 상이한 경우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공학 도구를 활용하여 탐구하거나 공학 도구를 활용한 평가 상황에서 학생들은 상당한 혼란에 직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일관성과 통일성을 제안하고,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 집필과 공학 도구를 활용한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ymbol representations and input methods of technological tool for the symbols used in textbooks focused on angles, arcs, and sectors, it was found that not only did textbook symbol representations differ by school level, but also by textbook within the same school level.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extbook symbol representations and input methods of technological tool for mathematical objects such as angles, arcs, and sectors. In case textbook symbol representations and input methods of technological tool are different, students may face considerable confusion when they use proactively technological tools for exploration or in assessment situations using technological tool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d consistency and unification of symbol representations and input methods of technological tool used in textbooks,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writing middle and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using technological too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각, 호, 부채꼴에 대한 교과서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포괄적 유물론에 비추어 본 인공지능 통합 수학교육의 기회와 도전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철학연구 6권 3호 목차
- Freudenthal의 비 개념 주해
- 수학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수학 대상의 심미성, 수학적 감수성, 심미적 수학 실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 다이어그램적 추론에 기반한 수학적 탐구 고찰: Peirce의 관점을 중심으로
- 학생 참여를 높이는 수학 과제의 조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