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년조리사의 지각된 과잉자격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이용수 44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young cooks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이종민(Jong-Min Lee) 윤지원(Ji-won Yoon)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20권 1호, 67~8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조리사의 지각된 과잉자격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조직몰입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외식산업에 종사하는 만19세이상~만34세 이상 조리사를 대상으로 편의추출 방법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02부의 설문을 수집하였으며 57부를 제외하고 최종 345부를 표본으로 SPSS 22.0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의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과잉자격은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과잉자격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몰입은 지각된 과잉자격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청년조리사의 직무를 재설계하고 고급 요리 기술 및 경영 스킬 교육을 통해 장기적 성장 비전을 제시해야 하며, 성취감을 줄 수 있는 과업과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청년조리사의 조직 내 안정적 성장과 이직 의도를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turnover intention among young cooks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argeting cooks aged 19 to 34 working in South Korea's food service industr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total of 402 responses were collected. After 57 responses were excluded, 345 responses were used in our final sample.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over-qualification negatively (-)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perceived over-qualification positively (+) affects turnover intention. Third, organizational commitment negatively (-) affects turnover intention. Fourth, organizational commitmen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enha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and improve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is highlighted by these study finding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redesign the roles of young cooks and provide training in advanced culinary techniques and management skills to offer a vision for long-term growth. Furthermore, meaningful task assignments that promote a sense of achievement and the provision of clear feedback are critical. Efforts such as these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able growth of young cooks within organizations and reduce their turnover inten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