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ti-corporate Sentiment and Consumer Activism in Korean Society: From Joseon Product Promotion Campaign to Cancel Culture
- 발행기관
- 한국경영사학회
- 저자명
- 김기민(Kimin Kim)
- 간행물 정보
- 『경영사연구(경영사학)』제39집 제4호(통권112호), 57~8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반기업 정서는 한국인의 경제관 중 두드러진 특성이며, 한국사회에서 나타나는 뿌리깊고 오래된 사회적 현상으로, 앞으로도 쉽게 사라지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반기업정서는 기업의 경영활동을 제약하고 국가경제의 발전을 저해하는 등의 부정적 영향을 초래한다. 따라서 반기업 정서를 해소 내지 극복하는 것은 개별 기업은 물론이고 사회 전체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반기업 정서에 관한 연구는 해외와 국내에서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그다지 활발하지는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행동주의 이론의 관점에서 한국사회에서 반기업 정서가 발현된 원인과 표출 방법, 영향 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보다 다각적, 역사적, 통합적으로 한국사회에서의 반기업 정서를 이해하고, 나아가 반기업 정서를 극복하기위한 방안을 제언한다. 본 연구가 한국사회에 만연하고 증폭되고 있는 반기업 정서를 완화 또는 극복하는 데 일조하며, 그를 통해 한국사회가 더욱 큰 경제적 및 사회적 발전을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Anti-corporate sentiment is a prominent aspect of the economic mindset in Korea. It reflects a deeply ingrained and longstanding social phenomenon, and is expected to persist and will not be easily eradicated in the near future It negatively impacts corporate activities and hinders national economic growth. Therefore, addressing and mitigating anti-corporate sentiment is a critical task, not only for individual companies but for society as a whole.
Although research on anti-corporate sentiment has been steadily conduct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t has not been particularly robust. In response,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expressions, and impacts of anti-corporate sentiment in Kor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 activism theory. Through this approach, the study aims to develop a more multifaceted, historical,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nti-corporate sentiment in Korea and, based on these insights, propose strategies for overcoming it.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lleviating or overcoming the widespread and intensifying anti-corporate sentiment in Korean society, thereby fostering greater economic and social progres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한국사회의 반기업 정서
Ⅳ. 극복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