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城市圖와 일본 都市圖의 비교 연구

이용수  23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Late Joseon Cityscape Paintings and Japanese Cityscape Paintings from the Muromachi and Edo Periods
발행기관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저자명
윤민용(Min Yong Yoon)
간행물 정보
『한국고지도연구』제16권 제2호, 87~12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城市圖는 도시를 그린 그림이다. 조선 후기인 18세기 후반에 새롭게 출현한 궁중회화의 주제이다. 그러나 중국과 일본에서는 조선보다 앞선 시기에 都市圖가 출현하였다. 조선의 성시도는 주제의 측면에서는 중국의 도시도에기원을 두고 있다. 성시도는 조선 후기의 풍속과 사회 동향을 반영하는 현실적인 성격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당대가희구했던 이상적인 도시의 모습을 재현하여 정치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조선의 <太平城市圖>를 중심으로 이를 풍속화의 맥락에서 검토하고, <淸明上河圖>로 대표되는 중국 도시도의 영향을 받았다고 해석하였다. 본연구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성시도의 화면구성과 도상의 성립에 영향을 끼친 요소로 중국뿐 아니라 일본의 도시도를 지목하고 그 영향관계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조선 후기에는 通信使 禮物로 상당한 수량의 일본 병풍이조선에 유입되었으며, 이중에는 도시도 혹은 도시이미지를 재현한 사례가 상당하다. 조선 후기 궁중에서 제작된 성시도에서 대형 화면에 평행사선부감도법으로 거대한 도시의 이미지를 펼쳐서 재현하는 방식은 일본의 도시도와 유사하다. 이전 시기의 회화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대형의 건축물군이나 도시를 재현한 예를 찾아보기 어렵다. 중국에서 출현한 도시도라는 화제, 조선 후기 燕行의 경험이 조선 궁중에서 제작된 성시도에 반영된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대형화면에 재현할 때에는 조선보다 앞서서 대형화면에 도시를 재현했던 일본의 회화를 적극 참조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비교연구 결과, 조선 후기 궁중의 성시도는 동시기 중국 및 일본과의 시각문화 교류 속에서 탄생하고 이를 조선화한 양식으로 변용한 사례에 해당한다. 이는 조선 후기 궁중회화의 개방적 성격을 드러낸다.

영문 초록

Seongsido(城市圖), or cityscape painting, emerg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significant genre reflecting domestic innovation and international influences.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Seongsido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and Japanese painting traditions, focusing on its composition, iconography, and stylistic features. While Chinese cityscapes, such as Qingming Shanghetu(淸明上河圖), influenced Seongsido’s origins, Japanese folding screens, particularly Rakuchu Rakugaizu(洛中洛外図), played a crucial role in shaping its format and techniques. Japanese cityscape screens, introduced to Joseon through diplomatic exchanges, depicted landmarks and festivals using bird’s-eye views and oblique perspectives. These elements were adopted in Seongsido, but with a unique focus on commercial spaces rather than political centers, as seen in Taepyeong Seongshido. Western painting methods, such as foreshortening, further distinguished late Joseon Seongsido by introducing depth and realism absent from traditional East Asian perspective. This synthesis of Chinese narrative tradition, Japanese structural innovation, and Western techniques highlights the cosmopolitan nature of Seongsido. In conclusion, Seongsido represents a unique courtly art form that evolved through the integration of East Asian and Western influences, reflecting the Joseon court's cultural aspirations and its role within a broader visual-artistic exchange.

목차

1. 머리말
2. 동아시아 도시도의 출현과 조선 유입
3. 동아시아 도시도의 조선 유입
4. 조선과 일본의 도시도 비교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민용(Min Yong Yoon). (2024).조선 후기 城市圖와 일본 都市圖의 비교 연구. 한국고지도연구, 16 (2), 87-122

MLA

윤민용(Min Yong Yoon). "조선 후기 城市圖와 일본 都市圖의 비교 연구." 한국고지도연구, 16.2(2024): 87-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