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 학습동기, 학습몰입, 수업만족의 구조 관계 연구
이용수 223
- 영문명
- The Structural Study of Elementary Students' Digital Literacy,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Engagement, and Class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희(gyeoung hee Lee) 이선민(sun min Lee) 김한신(han shi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2호, 741~75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 학습동기, 학습몰입, 수업만족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고, 디지털 시대의 초등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경기북부 소재 초등 5, 6학년생 25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9.0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등 기술통계를 산출하고, 4개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잠재 변인 간의 구조 관계를 보기 위해 R 언어 기반의 JAMOVI 2.4.11 프로그램과 AMOS 29.0을 활용하여 측정 모형을 검증하고, 총 효과 및 직·간접효과를 검정하였다.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래핑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4가지 변인 중 디지털리터러시 능력이 가장 높고, 학습동기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동기, 학습몰입, 수업만족 간에 구조관계가 있었으나, 학습동기는 수업만족에 통계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셋째,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와 수업만족 간의 관계에서 디지털리터러시는 학습몰입을 매개하여 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단순 매개효과와, 학습동기와 학습몰입을 매개하여 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디지털 학습환경에서 디지털 리터러시가 학습동기와 학습 몰입, 그리고 학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학습자가 학습의 주도권을 갖도록 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에 근거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정보를 습득하고, 공유하고, 협력하고, 비판적 사고를 촉진하는 구성주의 기반의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uctur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 dents' digital literacy skill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immersion, and class satisfac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lementary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52 5th and 6th graders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to calculate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using SPSS statistics 29.0,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 tween the four factors. In order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atent variables, the measurement model was verified using the R language-based JAMOVI 2.4.11 program and AMOS 29.0, and the total effect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tested. The mediating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using bootstrapping.
Results First, among the four variables, digital literacy ability was the highest, and learning motivation was the lowest. Second, there was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immersion, and class satisfaction, but learning motivat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im mersion, digital literacy showed a simple mediating effect in affecting class satisfaction through learning im mer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class satisfaction, and a double mediating effect in affect ing class satisfaction through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immersion.
Conclusions In a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digital literacy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refore, a constructivist-bas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is needed that allows learners to take the initiative in learning and promotes problem solving, information acquisition, shar ing, cooperation, and critical thinking based on digital litera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 수준별 다집단 분석
- 중·고등학생의 환경 교과 유용가치, 학습지속성, 진로준비행동의 잠재평균 비교
- 읽기 이해 구술평가에 대한 중·고등학교 국어교사의 인식 조사
- 초등사회과 모의수업에서 교수자 평가와 동료평가 비교: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 사무직 근로자의 영상표시단말기 증후군 예방행위 측정 도구개발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과 간호실무준비도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교사 관련 유아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19-2023년 국내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2호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인식 수준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지지의 조절효과
- 코로나19 전후 중장년의 우울 변화 궤적 분석: 근로 여부와 가족 형태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중학교 정보영재 대상 심화학습 모형 기반의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교폭력 가해 행동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 학교 부적응의 매개 효과와 집단 간 차이 분석
- 학습자 평가 기반 대학 교수자 수업역량 진단도구 개발
- 문제해결식 토론 및 수업실연 중심의 놀이지도 수업이 예비교사의 놀이성, 놀이인식,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사례 연구
- 국내 중고등학교 여학생의 흡연 영향요인: 제19차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이용
- 잠재전이분석을 활용한 유치원·초등학교 전환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잠재집단 전이 양상과 영향 요인 검증
- 여성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전환시설 재활경험
- 집단상담에서 집단원의 자기대상욕구가 집단상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작업동맹의 종단적 매개효과
- 공연예술 전공 대학생의 전환적 경험과 학업지속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진로장벽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상담 전공 학부생들의 내담자 경험 실습의 의미: 학생상담센터에서의 비대면 개인상담을 위주로
- 텍스트 마이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COVID-19 이전 시기와 COVID-19 시기 대학생 진로 관련 언론기사 분석
- 청소년의 정서표현신념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방어적 양가성과 관계관여적 양가성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교사핵심역량과 코칭역량과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범교과 학습 주제로 살펴본 학교 통일교육
-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 중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을 통한 교과 연계 및 학습 활동 유형의 비교
- 외국인 유학생의 성격5요인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 잡크래프팅과의 관계에서 교사 직무스트레스와 행복감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초기 노년기 우울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감사와 지혜의 순차적 매개효과
- 생성형 AI를 활용한 직무스트레스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우울,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 무기력의 순차매개효과
-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생성형 AI 활용 가능성 탐색: 지양해야 할 과제와 지향해야 할 과제를 중심으로
- 군대 성고충전문상담관의 소진 및 회복의 경험과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 TPACK 발달 단계를 고려한 강의를 통해 나타난 초·중등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에 관한 인식
- 성찰적 글쓰기 수업에서 ChatGPT 활용 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쓰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비교 연구
- 무전공 대학 입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자기조절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자기성찰을 경험한 상담자의 성장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화상 집단상담에서 상담자의 상담관계 어려움과 대처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플립러닝 적용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유아교사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과 간호사 대상 심폐소생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 보육교사의 플로리시와 창의적 교수 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아동의 미디어기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우울과 권위주의적 양육 행동의 이중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수법(CRP)’에 대한 성찰이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탐색
- 초등학생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 학습동기, 학습몰입, 수업만족의 구조 관계 연구
- 남성 직장인의 과도한 남성성과 우울과의 관계: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의 매개효과
- 초·중등학교용 적응형 학습 플랫폼의 자기조절학습 지원 기능 분석
-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혁신 비즈니스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농어촌 소도시 고등학생들의 방과후학교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횡성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 IB MYP 개인 프로젝트와 공동체 프로젝트를 기반한 중학교 핵심프로젝트 운영 방안 탐색
- 대학생의 학업소진과 우울에 기여하는 심리적 메커니즘 연구: 평가염려 완벽주의, 학업지연행동, 실패공포, 자기구실 만들기를 중심으로
- 국내 유아교육에서의 에듀테크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 영유아 교육기관의 보조교사에 대한 예비 영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은유분석과 면담을 중심으로
- 중·고등학교 학생선수의 스포츠과학 지원 경험이 경쟁불안과 스포츠수행전략에 미치는 영향
- 예방-교수-강화(PTR) 전략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부적절한 착석과 요구하기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피동표현 연구: 오류 말뭉치를 중심으로
- 학교상담자의 학교부적응 학생상담 어려움과 지원 방안 연구
- 라이프로깅 유형에 따른 학습경험 차이분석: 스터디윗미와 공스타를 중심으로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발명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형상화한 소설의 독서 경험을 통한 대학원생의 다문화 인식 변화 연구
- 동적기하 환경에서 정사영에 관한 공간 능력 발현과 문제해결
- 응급구조학 전공학생의 가상현실(VR)기반 환자안전 시뮬레이션 교육경험
- 중학생의 성별과 운동 빈도에 따른 체육수업 행복과 만족도 분석
- 모차르트 호른 협주곡 No. 4, K.495의 분석 연구
참고문헌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초등교육연구
-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한국초등교육
- 고객만족경영연구
- 한국 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년도 하계 학술발표논문집
- 교육연구논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사회과교육
-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교육과정평가연구
- 서울 학지사
- 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교사교육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기계저널
-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Tourism Research
- 대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교육발전
- 인문사회 21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Andragogy Today
- 상품디자인학연구
- 정보교육학회 논문지
- 한국디지털 콘텐츠학회논문지
- 학습자중신교과교육 연구
- 교육심리연구
-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대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초등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문화와 융합
- 교육문제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초등교육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 Routledge
- Journal of Marketing for Higher Education
- College & Research Libraries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 Tertiary Education and Management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 Asian Social Science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Developmental Review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 Management Science and Engineering
- Assessment &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