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상담교사에 관한 인식연구 - Q모집단 구성을 위한 FGI를 중심으로
이용수 75
- 영문명
-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 Counselors : Focusing on FGI for Q Population Composition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정희정(Heejung Ch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29 No.4, 719~73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forming a Q population when applying Q method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ystem and role of professional counselors through FGI. Methods: To this end, we conducted an FGI with six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 analyzed the FGI data and presented the results. Results: Based on this, it was determined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such as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providing training support and creating an environment for efficient counseling work, increasing the number of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and hiring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with experience in elementary education, in order to smoothly perform their rol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counseling.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orming a Q population when studying the perception of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using the Q methodology, and it is expected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elementary school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counseling work and the quality of counseling.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가족복지학 제29권 제4호 목차
-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상담교사에 관한 인식연구 - Q모집단 구성을 위한 FGI를 중심으로
- 유아기 첫 자녀를 둔 30대 부부의 양육경험과 부부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 부모 사별을 경험한 청소년의 애도 과정과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윤리 리터러시 지식과 태도의 관계
- 포토보이스를 통해 본 어린이집 일상 속 아동권리 존중의 경험 - 교사의 목소리
- 중학교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이 학교부적응과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LMS 기반 원격교육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학습 동기와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 이러닝 효능감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 실재감의 조절 효과
- 예비유아교사들의 ChatGPT 활용 수업 경험에 관한 의미 탐색
-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장애수용도, 양육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 가족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과 아동권리인식이 아동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아동친화도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참고문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상담학연구
- 한국교원 교육연구
- 상담학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상담학연구
- 교원교육
- 상담학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교원교육
- 상담학연구
- Yale University Press
-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iatric Press
- TX: Holt Rinehart and Winston
- 신경림, 장연집, 박인숙 역. 서울: 현문사 (원저는 1985에 출판)
-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s
- Newbury Park, CA: Sage
- 유재천, 김동규 역. 서울: 나남 (원저는 1994에 출판)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