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1 운동에 대한 일제 당국의 ‘회유’ 정책 - 충청남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22
- 영문명
- The Japanese Authorities' Policy of 'conciliation' on the March 1st Movement : Focusing on the Case of Chungcheongnam-do
- 발행기관
- 백석대학교 유관순연구소
- 저자명
- 최병택(Byung-Taek Choi)
- 간행물 정보
- 『유관순연구』제29권 제2호, 163~19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3·1운동이 일어난 직후 일제는 만세 시위의 확산을 막기 위해 각도 당국으로 하여금 지역 유지를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게 했다. 이 간담회에는 도장관과 도청 고위 간부, 친일 인사가 참석했는데, 이들은 미국 윌슨 대통령이 제시한 민족자결주의가 조선에 적용될 가능성이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주력했다.
그런데 조선인들은 이 간담회에 냉담했다. 당황한 일제 당국은 간담회가 끝나자 곧바로 각 군의 참사를 동원해 강연회를 열게 했다. 이 강연회를 통해 민족자결주의에 대한 기대를 버릴 것을 종용하고자 했던 것이다. 하지만 강연회 개최에 협력하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일제는 3·1운동 직후 열린 간담회와 강연회를 통해 누가 ‘적극적 협력자’인지 가려낼 수 있었다. 1920년대에 접어들어 일제는 친일파를 양성하는 데 주력하게 되는데, 이때 그 ‘적극적 협력자’를 앞세우기 시작했다.
영문 초록
When the March 1st Movement broke out, the Japanese authorities held a meeting with each provincial government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protests. The meeting was attended by provincial ministers, senior provincial government officials and pro-Japanese collaborators, who focused on conveying the message that the national self-determination proposed by U.S. President Wilson is unlikely to be applied to Joseon.
However, most Koreans did not participate in this meeting. The Japanese authorities, embarrassed by this, immediately mobilized Korean advisors belonging to each county office to hold a leaure after the meeting. Through this lecture, he tried to urge people to abandon their expeaations for national self-determination. However, there were not many advisers cooperating with this policy.
Through meetings and leaures held afi: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were able to identify who was the “active collaborator.” In the 1920s, the Japanese authorities began to focus on nurturing pro-Japanese group, and at this time, the Japanese authorities stabilized colonial rule with this aaive collaborator.
목차
Ⅰ. 머리말
Ⅱ. 3·1운동 발발 이후 일제의 회유
Ⅲ. 지역 협력자의 이후 행적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