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용으로서의 이중언어교육 담론 비판
이용수 40
- 영문명
- Critique of bilingual education discourses as tolerance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장은영(Eun Young Jang)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32권 4호, 149~183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questions whether bilingualism in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is constructed, perceived, and practiced as a discourse of ‘toler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practices, and implications of bilingual education by analyzing policy documents and field research texts related to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Five major discourses on migrants’ languages in Korea are identified: Korean language as the key for migrants to succeed; Korean language for migrants vs. English language for Koreans; migrants’ languages as a sign of problems and deficiencies; and migrants’ languages for global recognition of Korea. This paper argues that bilingualism in Korea works as tolerance because the discourses and practices of bilingual education, which seem to recognize diverse languages, in effect, discriminate against migrants’ languages, positioning migrant students and their languages as the objects of tolerance, and delimiting the boundaries of tolerance and intolerance. Further, bilingual education discourses depoliticize language discrimination and educational inequality that migrants face.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연구 배경
3. 연구 방법
4. 이주민 언어와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담론
5. 관용으로서의 이중언어교육: 통치성과 탈정치화
6. 나가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언어학 제32권 4호 목차
- 재독한인 1.5세의 언어 정체성에 대한 질적 연구: 소속감 희구 여정을 중심으로
- Usage of Human Nouns for Inanimate/Non-human Referents: A Quantitative Analysis Focusing on Its Usage from YouTube Video Clips
- 부산 원(原)도심의 언어 경관: 3대 시장(국제시장, 부평깡통시장, 자갈치시장) 간판의 언어 정보를 중심으로
- 1990년대와 2010년대 이후 드라마 자료 분석을 통해 살펴본 {네}, {예} 사용의 변이와 변화
- 성별어와 화자의 성별 합치가 어휘 접속에 미치는 영향
- Machine Translation and EFL Writing Development: A Focus on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 관용으로서의 이중언어교육 담론 비판
참고문헌
-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 철학탐구
- 서울특별시교육청
- 외국어교육연구
- 언어치료연구
- 교육문화연구
- 다문화교육연구
- 다문화교육의 이해
- 언어치료연구
- 특수 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응용언어학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다문화와 평화
- 재외동포재단
- 한국인구학
- 서울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 다문화교육연구
- 교육문화연구
- 다문화교육연구
- 서울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 다문화교육연구
- 언어와 문화
- 사회과학연구논총
- 여성가족부
-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 Multilingual Matters
- 갈무리
- Language Policy Division, Strasbourg: Council of Europe
- Language awareness and multilingualism
- 한울아카데미
- 두 번째테제
- 세종서적
- International Journal of Bilingual Education and Bilingualism
- English Today
-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 Critical pedagogies and language learning
- Journal of Asian Pacific Communication
- 사회평론
-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Bilingual Education
- The Oxford handbook of language policy and planning
- 도서출판 B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