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90년대와 2010년대 이후 드라마 자료 분석을 통해 살펴본 {네}, {예} 사용의 변이와 변화
이용수 44
- 영문명
- A study of variation and change in the use of {ne} and {je} in dramas from the 1990s and 2010s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장교진(Gyojin Jang) 신지영(Jiyoung Shin)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32권 4호, 123~14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use of {ne} and {je} in Korean dramas from the 1990s and 2010s in terms of gender and discourse situations. The research focuses on how male and female characters use {ne} and {je} differently in public and private contexts for each era, and how these patterns have changed over tim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1990s, men primarily used {je} in public settings and alternated between {ne} and {je} in private contexts, indicating a context-dependent usage pattern. Women, on the other hand, mainly used {je} in both public and private situations, but {ye} appeared more frequently in public settings, showing that women also adjusted their usage according to the context. Second, in the 2010s, men used both {ne} and {je} regardless of the discourse context, while women predominantly used {ne} across contexts. Third, compared to the 1990s, the use of {ne} in public situations increased for both men and women in the 2010s, indicating a notable change, while no change was observed in private settings.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기
2. 연구 방법
3. {네}, {예} 사용 양상의 변이와 변화
4. {네}, {예} 사용의 변이와 변화에 대한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언어학 제32권 4호 목차
- 재독한인 1.5세의 언어 정체성에 대한 질적 연구: 소속감 희구 여정을 중심으로
- Usage of Human Nouns for Inanimate/Non-human Referents: A Quantitative Analysis Focusing on Its Usage from YouTube Video Clips
- 부산 원(原)도심의 언어 경관: 3대 시장(국제시장, 부평깡통시장, 자갈치시장) 간판의 언어 정보를 중심으로
- 1990년대와 2010년대 이후 드라마 자료 분석을 통해 살펴본 {네}, {예} 사용의 변이와 변화
- 성별어와 화자의 성별 합치가 어휘 접속에 미치는 영향
- Machine Translation and EFL Writing Development: A Focus on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 관용으로서의 이중언어교육 담론 비판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